베르
  • 베르가 게시판 자유게시판에서 게시글 시간을 왜 지켜야 할까요?를 시작했습니다. 5 년, 4 개월 전

    오늘 학교에서 학교 시간표에 대해 저는 사회적 약속이니까, 그리고 사회를 살아가는데 시간 엄수는 가장 기본적인 것 이기 때문에 막연하게 학교의 시간표에 맞춰서 행동해야 한다고 생각해서 제 친구에게 그렇게 말했는데, 제 친구는 자신이 정한 시간표도 아닌데 왜 지켜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하더군요…

    그 친구를 반박하려고 했는데, 그 이유를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 막막해졌습니다. 그리고 제가 시간을 지키는 것에 대해서 얕게 생각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희가 회사나 학교와 같은 조직의 시간표를 지켜야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만약 지킬 필요가 없다면, 그것은 또 왜일까요?…여러분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 제 건의를 들어주시고, 대안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앞으로는 글이 또 깨지지 않도록 조심하겠습니다.

  • 베르가 게시판 자유게시판에서 게시글 글이 왜 깨지는 건가요?를 시작했습니다. 5 년, 5 개월 전

    자유 게시판에 의견을 올리다가 글이 두 번 깨졌습니다.

    <span style=”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3px; letter-spacing: 0.8px; word-spacing: 2px;”><p class=”0″>과학 만능주의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mso-font-width: 100%; letter-spacing: 0.0pt; mso-text-raise: 0.0pt;”>.</span></p></span><br style=”box-sizing:…[더 보기]

  • 베르가 게시판 이슈토론에서 게시글 과학만능주의는 옳다.에 답변을 달았습니다. 5 년, 5 개월 전

    .

  • 베르가 게시판 이슈토론에서 게시글 과학만능주의는 옳다.에 답변을 달았습니다. 5 년, 5 개월 전

    <p class=”0″>과학 만능주의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mso-font-width: 100%; letter-spacing: 0.0pt; mso-text-raise: 0.0pt;”>.</span></p>
    <p class=”0″>과학의 발달이 인류에 악영향을 끼친 사례는 생각보다 꽤 많습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mso-font-width: 100%; letter-spacing: 0.0pt; mso-text-raise: 0.0pt;”>.</span><…[더 보기]

  • 베르가 게시판 이슈토론에서 게시글 과학만능주의는 옳다.에 답변을 달았습니다. 5 년, 5 개월 전

    <p class=”0″>과학 만능주의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mso-font-width: 100%; letter-spacing: 0.0pt; mso-text-raise: 0.0pt;”>.</span></p>
    <p class=”0″>과학의 발달이 인류에 악영향을 끼친 사례는 생각보다 꽤 많습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mso-font-width: 100%; letter-spacing: 0.0pt; mso-text-raise: 0.0pt;”>.</span><…[더 보기]

  • 베르가 게시판 이슈토론에서 게시글 과학만능주의는 옳다.에 답변을 달았습니다. 5 년, 5 개월 전

    <p class=”0″>과학 만능주의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mso-font-width: 100%; letter-spacing: 0.0pt; mso-text-raise: 0.0pt;”>.</span></p>
    <p class=”0″>과학의 발달이 인류에 악영향을 끼친 사례는 생각보다 꽤 많습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mso-font-width: 100%; letter-spacing: 0.0pt; mso-text-raise: 0.0pt;”>.</span><…[더 보기]

  • 베르가 게시판 이슈토론에서 게시글 과학만능주의는 옳다.에 답변을 달았습니다. 5 년, 5 개월 전

    <p class=”0″>과학 만능주의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mso-font-width: 100%; letter-spacing: 0.0pt; mso-text-raise: 0.0pt;”>.</span></p>
    <p class=”0″>근대에서 가장 중요시한 것은 과학과 이성이었지요<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mso-font-width: 100%; letter-spacing: 0.0pt; mso-text-raise: 0.0pt;”>. </span>이는 인류의 영…[더 보기]

  • 세계로 나간 사람은 다른 사람과는 차별화된 경험을 할 것이고, 자신의 문화와는 다른 관점을 가진 여러 사람들과도 만날 수 있습니다. 또한, 그 경험을 뭐라 말로는 표현할 수 없지만 큰 가치를 지닐 수 있죠. 반면에 대학에 진학한 사람은 심화된 전공을 공부할 수 있고, 대학 내의 사람들과 지낼 것입니다.

    하지만, 딱 집어서 ‘무엇이 더 좋다’라는 하기 힘들 것 같습니다.

    세계로 나간 사람은 다른 사람들과는 다른 감각을 기를 수 있습니다만, 우리나라의 대학교를 나오지 못하는 것이니까요. 그리고 독립심과 같은 세계여행을 잘 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면 역효과가 날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대학에 진학하는…[더 보기]

  • 베르가 게시판 자유게시판에서 게시글 삶의 목적(목표)은 무엇일까요?를 시작했습니다. 5 년, 6 개월 전

    그냥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러분의 삶의 목적(목표)는 무엇인가요?

    보통은 행복한 삶을 위해서 산다고는 하지만, 삶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행복이란 무엇일까요?

    많은 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 베르가 게시판 이슈토론에서 게시글 인간은 왜 존엄한가?에 답변을 달았습니다. 5 년, 6 개월 전

    조금 더 쓰자면, 인간의 존엄성이란 이기적인 개념이지요.

    다른 모든것들에게는 인정하지 않지만, 네이버 지식백과의 말을 조금 빌리자면, ‘인간을 그러한 존재로 대우해야 한다는 당위성은 오직 인간들에게만 요구되는 사항’이라고 하니까요. 동물들도, 그 어떤 다른 생명체들도 존엄성은 보장받지 못합니다. 그냥, 인간만 존엄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비바체님의 말씀처럼, 인간이면 누구나 존엄하다는 근거, 최소한 근거에 가까운 그 무엇도 없습니다.

    과연 ‘인간’이라는 이유만으로 존중받을 권리가 있을까요?

    만일 인간이 존엄하다면 고영철이나 조두순같은 사람들도 존엄하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그렇다면, 그 근거는 무엇이 될까요?…[더 보기]

  • 베르가 게시판 이슈토론에서 게시글 인간은 왜 존엄한가?에 답변을 달았습니다. 5 년, 6 개월 전

    rohtax님의 의견을 잘 읽어보았습니다.

    저도 저 글은 처음에 아무런 조사 없이 제 생각을 즉석에서 쓴 것이어서, 님의 의견을 읽은 뒤에 생각을 더 해보고, 조사도 더 해보았습니다.

    우선, 인간의 존엄성은 시민혁명 과정에서 생긴 것이 맞는 것 같네요.

    하지만, 그 의미는 도덕적이지 않습니다. 시민 혁명의 과정에서, 민주화를 이루는 과정에서, 그 주체들은 사람들을 끌어모으기 위한 수단이 필요했을 것이고, 그 도구가 ‘인간의 존엄성’이었을 것입니다. 또한, 자신들이 일으키는 혁명의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끌어들였기도 하고요.

    정말로 사람 자체가 존귀한 존재라서가 아니라, 혁명을 일으키려면 사람들을 모으기 위…[더 보기]

  • 위에서는 찬성의 입장이었지만, 생각해보니 그것도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 생각엔 창조론은 세상의 기원을 설명하지 못합니다. 덧붙여서 말하자면, 진화론도 세상의 기원을 설명하지 못합니다.

    창조론에서는 세상의 기원이 신이라고 하지요? 그러면 그 신은 어디에서 왔습니까? 이렇게 질문을 반복하다보면 세상의 기원을 ‘모른다’라는 결론에 갈 것입니다.

    또한 진화론도 생물의 종을 파악하는 과정을 통해 생물의 기원과 세상의 기원을 밝히려고 하지만, 질문을 을 반복하다보면 결국은 또 ‘모른다’는 결론이 나올 것 같네요. 예를 들어 진화론에서 ‘하나의 생물종에서 분화되어 종이 다양해졌다’라고 했을 때, ‘그 하…[더 보기]

  • 베르가 게시판 자유게시판에서 게시글 부산학생폭행사건과 소년법에 답변을 달았습니다. 5 년, 6 개월 전

    http://www.honam.co.kr/read.php3?aid=1505228400535151234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9/10/2017091000751.html

    질문자님이 읽어보실만한 뉴스입니다.

     

    저도 소년법 폐지는 답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소년법을 폐지하고 청소년들에게 성인의 법을 적용하는 것은 청소년의 윤리의식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청소년이 저지른 가벼운 죄(예시: 배가 고파서 홧김에 마트에서 빵 하나를 훔쳤다)를 엄벌하게 되면 청소년에게 ‘범죄자’라는 낙인을 찍게 되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도 있습니…[더 보기]

  • 베르가 게시판 이슈토론에서 게시글 인간은 왜 존엄한가?에 답변을 달았습니다. 5 년, 6 개월 전

    제 글이 계속 깨지네요…줄인다고 줄였는데 그래도 너무 많았나봅니다;;;(바이트 초과인 것 같습니다…ㅠㅜ)

    이런 일이 처음이라 잘 몰랐습니다…. 죄송합니다 ㅠㅜ

     

    위의 글을 요약하자면, 인간의 존엄성은 뛰어난 지능으로 다른 동물과는 차별화되는 문명(언어, 과학기술, 예술, 가치, 윤리 등등)을 이룩한 인간이 자신들을 다른 존재들과 차별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념이라는 것입니다.

    물론, 나중에는 지능과 같은 조건에 상관 없이 모든 인간을 존중하게 되었지만요.

  • 베르가 게시판 이슈토론에서 게시글 인간은 왜 존엄한가?에 답변을 달았습니다. 5 년, 6 개월 전

    제 글이 계속 깨지네요…줄인다고 줄였는데 그래도 너무 많았나봅니다;;;(바이트 초과인 것 같습니다…ㅠㅜ)

    이런 일이 처음이라 잘 몰랐습니다…. 죄송합니다 ㅠㅜ

     

    위의 글을 요약하자면, 인간의 존엄성은 뛰어난 지능으로 다른 동물과는 차별화되는 문명(언어, 과학기술, 예술, 가치, 윤리 등등)을 이룩한 인간이 자신들을 다른 존재들과 차별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념이라는 것입니다.

    물론, 나중에는 지능과 같은 조건에 상관 없이 모든 인간을 존중하게 되었지만요.

     

    제 원래 글은 첨부파일로 남겨놓겠습니다. 정말 죄송합니다..ㅠㅠ

  • 베르가 게시판 이슈토론에서 게시글 인간은 왜 존엄한가?에 답변을 달았습니다. 5 년, 6 개월 전

    <p class=”0″>제가 생각하고는 했던 매우 흥미로운 주제군요<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mso-font-width: 100%; letter-spacing: 0.0pt; mso-text-raise: 0.0pt;”>. </span>제 생각을 한 번 말해보겠습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mso-font-width: 100%; letter-spacing: 0.0pt; mso-text-raise: 0.0pt;”>.</span></p>
    <p class=”0″><!…[더 보기]

  • 베르가 게시판 이슈토론에서 게시글 인간은 왜 존엄한가?에 답변을 달았습니다. 5 년, 6 개월 전

    <p class=”0″>제가 생각하고는 했던 매우 흥미로운 주제군요<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mso-font-width: 100%; letter-spacing: 0.0pt; mso-text-raise: 0.0pt;”>. </span>제 생각을 한 번 말해보겠습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mso-font-width: 100%; letter-spacing: 0.0pt; mso-text-raise: 0.0pt;”>.</span></p>
    <p class=”0″><!…[더 보기]

  • 베르가 게시판 이슈토론에서 게시글 인간은 왜 존엄한가?에 답변을 달았습니다. 5 년, 6 개월 전

    <p class=”0″>제가 생각하고는 했던 매우 흥미로운 주제군요<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mso-font-width: 100%; letter-spacing: 0.0pt; mso-text-raise: 0.0pt;”>. </span>제 생각을 한 번 말해보겠습니다<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mso-font-width: 100%; letter-spacing: 0.0pt; mso-text-raise: 0.0pt;”>.</span></p>
    <p class=”0″><!…[더 보기]

  • 베르가 게시판 자유게시판에서 게시글 행복의 조건은 무엇인가 ?에 답변을 달았습니다. 5 년, 6 개월 전

    행복의 조건은 사람마다 천지차이라서 정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굳이 몇 개를 정하자면

    1. 생활에 지장이 없을 정도의 재력(돈)

    2.근거없이 제제당하지 않을 자유

    3.동등하게 대우받기 위한 평등

    등이 있겠네요.

     

    한 가지 추천을 드리자면, 자본주의 사회에서 행복의 조건으로써의 평등에 대해서 토론해보시면 어떨까 싶습니다. 우리의 경제체제인 자본주의 사회는 자유, 즉 개인이 능력이 되면 돈을 제한 없이 벌 수 있는 체제이지요.

    그러나 이는 평등과는 정면으로 충돌하는 개념입니다. 빈부격차가 일어나는 것만 봐도 알 수 있지요. 저희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누구나 평등하지 않습니다’.…[더 보기]

  • 더 보기
  • 토론의 순수성을 신뢰합니다.
  • 서로간의 차이와 다양성을 존중합니다.
  • 소통과 공감을 최고의 가치로 여깁니다.
  • 지식과 지혜의 조건없는 공유를 지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