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혜로운사람과 가까이 한다고해서, 내가 지혜로워 지는 것은 아니다.

지혜로운사람과 가까이 한다고해서, 내가 지혜로워 지는 것은 아니다.

  • #11362

    이 논제를 가지고 토론해야되는데요..
    음 제가 생각하는 논거는 하나밖에 없어요..ㅠㅠ
    – 지혜로운 사람과 가까이 한다고 해서 , 자신이 지혜로운사람에게 배울점을 느끼지 못하거나, 느낀대로 행동하지 않으면 지혜로워 지는 것이 아니다.

    이 논제에 대한 다양한 주장들 있을까요?

1 답변 글타래를 보이고 있습니다
    • #11366

      사람이란것은 자기 자신만의 그릇이 있다고 봐요
      그 그릇이란 것은 환경과 인간관계를 통해 계속 커지기도 하고 작아지기도 한다고 생각하는데요
      그릇의 크기에 따라 수용할 수 있는 지혜의 크기도 달라진다고 봅니다.
      아무리 지혜로운 사람과 가까이 지내도 내가 그릇이 안되면 의미가 없는거죠.

      종교를 예로 들겠습니다. 보통 종교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신과 가까워 지고자 노력합니다. (신은 지혜롭죠)
      많은 이들이 교리를 따르고 속죄하고자 애를씁니다. 그렇다고 그 사람들이 사회에서 항상 지혜로운 모습만 보여줄까요?

      아니죠. 종교와 관련된 수 많은 범죄들이 끊이지 않는 것만 봐도 알 수 있을꺼에요.
      지혜로운 사람과 가까이 한다고, 또는 지혜로워지고자 노력한다고 크게 달라지는 것은 없는거 같습니다.

      • #11368

        그게 일반적이지 않다는것에 주목해야 합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인간과 종교를 분리할 수 없는거죠

      • #11378

        fronever님의 말이 틀린이야기는 아닙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건 결국 그 사람들이 지혜를 받아들일 그릇이 준비되어 있기 때문이죠
        만약 그게 아니라고 한다면 fronever님 말씀처럼 밑빠진 독에 물붓기 입니다.

        이미 범죄자들 보세요. 그 사람들이 본인보다 지혜로운 사람을 한 번도 만나지 못했기 때문일까요?

    • #11387

      적절한 찬반주제로 구성해서 주제신청해보세요…

1 답변 글타래를 보이고 있습니다

답변은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 토론의 순수성을 신뢰합니다.
  • 서로간의 차이와 다양성을 존중합니다.
  • 소통과 공감을 최고의 가치로 여깁니다.
  • 지식과 지혜의 조건없는 공유를 지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