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징병제의 현실을 어찌보십니까?

대한민국 징병제의 현실을 어찌보십니까?

  • #11197

    저는 남성입니다. 현재 지구상 유일하게 징병제 국가중 에서 여성만 의무가아닌 나라는 대한민국뿐입니다. 현 제도대로 21개월 복무합니다. 이마저도 적다는 분이 계시긴합니다만. 저는 이것도 충분하다고 봅니다. 여성분들이 국대가지않아도 되는 현실은 남녀차별이 아닌가를 넘어 위헌이 아닌가는 생각이 듭니다. 여자도 선택해서 갈 수 있다 하시는데 직업군인하고 병사하고 대우가 다르지않습니까? 고작 월10만원남짓의 하루 3300원을 받아가며 먹어도 배고프고 자도 졸린곳이 군대 아닐까요? 임신과 비교하시는 많은 분들이 계십니다. 그것은 선택과 의무입니다. 그리고 가고싶은 군대란 있습니까? 저는 연봉 100억 아니 1000억원을 줘도 가기싫습니다. 의무는 꼭해야하지만 선택은 말그대로 선택입니다. 여성가족부에서 군 가산점을 폐지했죠. 2~3%를 주는 것이 특혜라고 한다면 여성들은 사회에서 21개월동안 2~3%못땁니까? 능력이 없으신지요? 이것이 특혜라하면 안되고 군면제대상이나 공익이 특혜아닌가요? 여성부에서 말하는 남녀평등이란 무엇인가요? 저는 군복무를 예로든겁니다. 군대에서 남자들 두드려맞고 온갖 부조리는 다겪고 계급사회라는 곳에서 불합리해도 하라면 하는 곳에서 21개월 청춘을 갖다 바치는데 월10만원정도 쥐어주고 애국심 퍽이나 생기겠다. 그죠? 군대갔다오신분들은 어떠신가요?

1 답변 글타래를 보이고 있습니다
    • #11202

      대한민국의 징병제… 언제나 뜨거운 감자죠
      왜 우리나라는 남자들만 의무적으로 군생활을 해야하는가?
      저는 과거 수차례의 외세침략과 유교영향이 컸던 우리역사에 원인이 있지 않나 싶습니다. 남아선호사상, 가부장제도, 성씨제도,
      이런것들은 남자가 귀한데서 오는 자연스런 문화였다고 봅니다.
      전쟁이 발발하면 남자가 전쟁터에 나가 싸워 죽기 일쑤고 자기 씨를 퍼트리기 위해서는 남,여가 같이 전쟁에 나가 싸우기 보다는
      역할을 분담했다고 봅니다. 그 중 여성은 씨를 받기 위한 또는 종족을 번식시키기 위함의 역할이 더 크다고
      생각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이런 문화가 관습처럼 내려오다가 고착화 되었다고 보는거죠…
      왜 남자만 군대가는가에 대한 제 생각은 이랬습니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11215

      sam

      한국이 징병제 국가중 유일하게 남성만 징병하는 국가는 아닙니다.

      시리아, 싱가포르, 우즈베키스탄, 이란, 터키 등등… 찾아보면 제법 많은 나라가 있습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A7%95%EB%B3%91%EC%A0%9C#.EC.A7.95.EB.B3.91.EC.A0.9C_.28.EB.AF.BC.EB.B3.91.EC.A0.9C.EC.99.80_.EC.84.A0.ED.83.9D.EC.A0.81_.EC.A7.95.EB.B3.91.EC.A0.9C_.ED.8F.AC.ED.95.A8.29)

      남녀평등이 단순히 징병제에 남,녀 모두를 편입시킨다고 해서 이루어지진 않을겁니다. 외려 군대 안에서 각종 문제들이 불거지겠지요..

      모병제이면서 여성들도 입대가 가능한 미 육군의 경우 그 구성원들에게 제공하는 교육의 대부분이 SHARP라는 교육인데, 이 교육은 성 관련 문제의 예방 및 대응방법을 병사와 장교들에게 주지시키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못해도 한달에 한번씩은 대대규모의 교육이 이루어지죠. 이렇게까지 해도 계속해서 성폭행, 성희롱 사건이 발생하는 곳이 미 육군입니다.

      군대 다녀오신분들은 한번 상상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어느날 갑자기 중대에 신병으로 여성이 들어온다면 과연 아무일도 없을지…

      당장 남성들끼리의 내무부조리도 시급한 개선이 필요한데 남녀, 여여간의 부조리는 생기지 않을 것이라 장담할 수 없죠..

      보상심리에 기반해서 ‘나도 이렇게 고생했는데 여자들은 왜 이런 고생을 해보지 않는가?’ 라고 접근하시기 보다는

      ‘나는 이렇게 고생했는데 이러이러한 점들이 개선되어야 할 것 같고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라고 말씀하시는 것이 징병제를 실시하는 한국에서 취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스탠스가 아닐지 감히 말씀드려봅니다.

1 답변 글타래를 보이고 있습니다

답변은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 토론의 순수성을 신뢰합니다.
  • 서로간의 차이와 다양성을 존중합니다.
  • 소통과 공감을 최고의 가치로 여깁니다.
  • 지식과 지혜의 조건없는 공유를 지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