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의 공과 과 다 봐야하는게 옳지 않을까요?

대통령의 공과 과 다 봐야하는게 옳지 않을까요?

  • #11187

    크게 진보던 보수던, 더민주던 새누리당이건 국민의당이건 이거 아니면 저거로 나와 다른 신념을 가진 사람이 대통령으로 앉게되면 그 사람이 무슨 일을 하던 나쁘게 보고 나쁜점만 끄집어 내서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대다수인 것 같습니다.
    물론 박근혜대통령이 못한일이 태반이고, 잘한일은 눈에 씻고 찾아봐도 없지만 예를들어 한일 위안부 협의 내용은 정말 쓰레기만큼이나 창피한 결과이다. 하지만 그 시작점은 좋았다. 라든가, 이명박의 4대강 추진사업 등 자기 배를 채우려는 정책은 구속감이다. 하지만 이명박의 버스개혁정책, 신호등 숫자넣기 등은 좋은정책이었다. 라고 생각을 할수 있지않나요? 제 주변사람들 얘기만 들어봐도 단점만 끄집어 내는거 같아서 이야기 올려봅니다.

0 답변 글타래를 보이고 있습니다
    • #11190

      sam

      사람의 생각은 스스로가 접하는 정보에 따라 달라지기 마련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풍토가 이런것은 언론에서 장점을 조명하지 않고 단점만을 부각시키는 것에 가장 큰 책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명박의 4대강도 어찌보면 케인즈주의에 입각해서 미국의 경우처럼 2차세계대전 이후 전쟁특수로 인한 폭발적인 수요와 공급을 사회 SOC에 투자한 루스벨트 대통령의 뉴딜정책이 바로 그 모델인데… 토건사업만으로는 충분한 수요를 이끌어낼 수 없다는걸 증명하고 결국 수십조를 거하게 해먹었다는 욕만 먹었죠. 녹조라떼 등등의 사이드 이펙트도 같이 나오면서.. ㅎㅎ

      보릿고개님의 말씀처럼 공과 과를 구분하는것은 중요하긴 합니다. 그런데 이게 왜 중요한거냐면, 결국 대통령의 공이 많아지고 과가 줄어드는것은 곧 국가의 이익과 시민들의 삶에 직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거든요. 따라서 공을 높게 쳐주는 것은 더욱 더 공을 많이 쌓고 과를 욕하는 것은 그러한 과를 더이상 늘리지 말라는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이른바 소통의 부재, 즉 아무리 공을 칭송하든 과를 비판하든간에 달라지는게 없다면 우리가 왜 공을 찾아내고 과를 들어내는 수고를 할 필요가 있겠습니까?

      스스로의 과를 바로잡을 생각이 없다고 시민들이 여길정도의 대통령이라면 과연 그 잘못이 언론과 시민에게만 있을까요? 대통령은 완전무결한 존재가 아닙니다. 대통령 스스로가 자신도 가끔은 실수도 하고 옳지 못한 판단도 내린다는 것을 인정해야죠.

      p.s. 책임도 지고.

0 답변 글타래를 보이고 있습니다

답변은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 토론의 순수성을 신뢰합니다.
  • 서로간의 차이와 다양성을 존중합니다.
  • 소통과 공감을 최고의 가치로 여깁니다.
  • 지식과 지혜의 조건없는 공유를 지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