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의 인권도 존중
-
동물의 인권도 존중 해야 할까요?
10 답변 글타래를 보이고 있습니다
10 답변 글타래를 보이고 있습니다
답변은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태그: 동물 존엄
동물의 인권도 존중 해야 할까요?
인권은 인간에게 주어지는 기본 권리입니다.
사람 인 자를 씁니다.
동물은 애초에 인권을 가질 수 없습니다.
동물권 존중해야죠
동물을 존중해야한다는 것은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분위기지만 생물학적으로는 절대 있을 수 없습니다. 인권은 사람이 사람을 존중하는 겁니다. 우리는 자연 속에 속해 있는 일부입니다. 호랑이의 권리를 위해 방목하는 것이 옳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그 호랑이로 인해 인간이 죽거나 다치기 때문입니다. 애초에 문명을 이루지 못했다면 인권이란 의미조차 없습니다. 인간도 먹히고 먹는 사슬의 일부일 뿐입니다. 우리가 호랑이를 가두고 개를 키우며 돼지를 먹을 수 있는 이유는 인간이 먹이사슬의 최상층에 있기 때문입니다. 인간 마음대로 어떤 개체에 대해 권리를 주거나 뺏을 수 없습니다. 애초에 있지도 않았던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냥 “동물의 권리도 존중 해줘야 하냐?” 같은 질문인데 전 개인적으로 존중 안해도 된다 정도 생각합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다른 사람이 보는데 죽이거나 학대하는건 다른이가 불쾌할수 있으니 혼자 해야겠죠
윗부들 말에 동의합니다. 동물의 인권이란 원래 없었고, 우리가 만들 수도 없습니다.
동물에 대해 학대하는것을 제한함은 그것이 다른 사람의 행복추구권을 침해하기 때문이지, 동물에게 행복추구권은 없습니다.
평소에 육류를 먹을 때 그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으로 먹고 있습니다.
위에 생물학적 운운은 헛소린 게 그 논리면 인권도 무의미하죠. 생명과학 같은 과학은 현상에 가치 부여를 하지 않아요. 가치는 윤리학ㅇ 영역이고 대다수 윤리학자들이 동물을 어떤 식으로든 존중해야 한다고 말해요. 단지 동물권주의자와 동물권 대신 자비로써 배려하는 것에 머무는 쪽 등 의견이 갈리는 것뿐.
동물만도 못한 지적 장애인도 권리를 인정하듯 동물 역시 그리해야 한다는 동물권리론,
권리는 아니고 동물을 보호하는 게 지각 있는 존재들의 행복 총합 증진에 도움이 되며 간접적으로 장애인 보호에도 도움이 된다는 동물해방론
이 둘이 유명하고, 계약론적으로는 장애인은 그를 낳은 부모를 통해 관계성이 생기지만 동물은 아니기 때문에 그냥 지각 있는 존재에게 자비로써 배려하라는 정도의 주장이 있죠.
현대 윤리학계에서 채식을 권장하면 했지 그게 실수라거나 잘못이라고 비웃는 경우는 없어요.
동물의 권리를 존중해야 한다? 동물보다 우선시 되는 것은 사람의 권리인 인권입니다. 동물단체들을 비판하는 건 아니지만 그 시간과 그 금액으로 빈곤층, 소외계층에게 후원을 하는 것이 더 이로운 일이 아닐까요?
인권처럼 동물권 역시 당연히 존중받는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동물들도 감정을 갖고 생각을 할 수 있는데 인간들을 위해 전시되거나 단순히 식용을 위해서 길러지는것은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습니다. 하지만 법도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고 인식도 부족하기에 최소 몇십년..정도 지나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동물보다 사람이 더 중요하다는 건 왜 생긴 건지 모르겠습니다.. 단순히 인간이 동물보다 뛰어나다고 해서 우리와 같이 생각하고 느끼는 동물의 권리를 무시할 수 있을까요? 인간이 없었다면 환경이 지금보다 훨씬 좋았을 것이고 인간이 죽인 동물 수만 생각해봐도 인간은 동물에게 너무 많은 잘못을 저질렀습니다. 이미 무시할 대로 무시했는데 여기서 더 간다면 너무 이기적인 거 같습니다.
답변은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