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탐구토론대회(중등)에 관하여

과학탐구토론대회(중등)에 관하여

  • #11250

    어제 과학탐구토론대회 주제가 나왔습니다. 오늘부터 준비할 계획인데요.
    중등 주제 : (에너지) 현대인은 화석연료, 전기 등을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로 이용하고 있다. 산업혁명 이전 사람들은 주변의 자연환경을 활용하여 생활에너지(냉·난방, 동력 등)를 어떻게 얻었는지 조사하고, 환경 문제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시오.
    이 주제와 관련하여 조금 도움을 받아볼까합니다. 그와 동시에 정보를 공유도 하고요.
    Q 사례, 방안, 어떻게(어떤 방식으로 이둘을 연결지을까?, 참고자료 등
    너무 직접적인것을 제외한 나머지를 도와주셨음 합니다.

    PS : 내용보다는 사례와 문제개선방안을 찾고 실험으로 어떻게 연결짓고 계획할까가 어렵네요.

3 답변 글타래를 보이고 있습니다
    • #11251

      아니면 어디서 찾아야할지 책이나 이런것들을 추천해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도저히 백과나 네이버는 못믿겠네요.

    • #11252

      과학자들은 대부분 지구온난화의 원인을 19세기 산업혁명으로부터 시작된 화석에너지에 기초한 경제활동에서 찾고 있다. 그렇다면 산업혁명 이전 시기에 살던 사람들은 오늘날의 지구온난화와 전혀 관계가 없을까?

      얼마 전 학술지 journal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에 실린 한 논문은 이 질문에 대한 흥미로운 답변을 내놔 주목된다. 지구온난화의 약 9%는 산업혁명 이전 시기에 배출된 이산화탄소에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주요 원인으로는 산림 벌목이 거론되고 있다.

      산업혁명 이전에 넓은 면적의 숲이 사라진 데에는 무엇보다 인구증가가 가져다준 압력이 컸다. 서기 800년부터 1850년경까지 세계 인구는 5배 이상 늘어나 10억 명을 넘어섰다. 이렇듯 급속히 늘어난 인구를 부양하기 위해 농업이 확장되었고 그 과정에서 산림 벌목 역시 늘어나게 된 것이다.

      탄소흡수원인 산림이 사라지면서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이 저하되었을 뿐만 아니라 나무에 저장돼 있던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으로 배출돼 온난화 효과를 높였다. 연구에 따르면 특히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과 인도를 중심으로 한 남아시아 국가들에서 산림 벌목 등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이산화탄소배출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인간의 역사와 이산화탄소 배출과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몇 가지 흥미로운 사실들을 발견했다. 예컨대 13세기 몽고가 아시아를 정복했을 때 전쟁에 따른 인구 감소로 숲이 복원되면서 이 지역의 탄소배출이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14세기 유럽에서 흑사병이 유행했을 때도 탄소배출량은 대폭 줄어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추정이 전쟁을 미화하거나 서구 선진국들이 져야할 지구온난화의 책임을 엉뚱한 데로 돌리는데 이용되어서는 곤란하다. 정치적인 의미부여보다는 순수한 과학 연구의 결과로 받아들여야한다는 뜻이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이은선 연구원).

    • #11253
    • #11254

      [정지훈] ‘바이오 에너지’는 미래다
      http://www.hankookilbo.com/v/7acb44e34f104669943cfd7c00166468

3 답변 글타래를 보이고 있습니다

답변은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 토론의 순수성을 신뢰합니다.
  • 서로간의 차이와 다양성을 존중합니다.
  • 소통과 공감을 최고의 가치로 여깁니다.
  • 지식과 지혜의 조건없는 공유를 지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