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데타로 생긴 정부는 정부라고 인정해야하나?'에 답변달기

메인페이지 게시판 커뮤니티 주제신청 쿠데타로 생긴 정부는 정부라고 인정해야하나? '쿠데타로 생긴 정부는 정부라고 인정해야하나?'에 답변달기

#10910

sam

1. 말씀드렸던 내용을 좀 더 풀어쓰도록 (=변명하도록 ^^;;) 하겠습니다.

지금 다시 읽어보니 제 주장이 지나치게 인지적인 관점이었네요.

요새 역사에 대한 책들을 읽다보니 저도 모르게 결과론적인 생각을 갖게 되었나봅니다…

(‘역사에 만약이란 없다.’는 식의… 심지어 지금 주제에도 적절하지 않은 문장이긴 합니다만.)

제가 말씀드렸던 정통성과 쿠데타에 대한 인정의 개념은 현대 대한민국의 개인의 입장으로서가 아니라 장구한, 그러나 영원의 입장에서는 찰나와도 같을 인류의 역사적 관점에서의 독재정권과 쿠데타를 말씀드리는 것 이었습니다.

쉽게말해 ‘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 대통령은 1963년부터 1979년까지 재임하였다.’ 라고 말하는, 무미건조한 관점이었던 것이지요.

‘박정희는 당시의 중앙정보부장이었던 김재규에게 살해당했다.’ 라는 대목에서 독재정권의 필연적인 몰락을 역설할 수도 있겠습니다.
//////////////////////////////////////////////////////////////////////////////////////////////////////////

2. 민주주의자로서의 개인적인 관점이라면 당연히 쿠데타는 민주국가에서 결코 용납될 수 없는 행위입니다. 따라서 이에대한 보편적인 인정은 있을 수 없고 있어서도 안되겠습니다.

시민들간의 합의를 모두 무위로 돌려버리는 지극히 비민주적인 행위의 정점이 독재와 쿠데타니까요.

다만 한가지 이견이 있는데, 민주국가에서 독재정권이 행한 행동들은 그 국가가 행한일로 인정할 수 없다고 보는것은 독재가 끝난 이후 오히려 그 민주국가의 과거극복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좋은 예시로 2차세계대전 이후 히틀러와 나치정권의 과오를 인정하고 스스로 반성하려 노력하는 독일과 그에 반대되는, 전범들이 숭배되는 일본의 예를 들 수가 있겠습니다.
(냉소적으로 보자면 독일은 반성하는 태도를 보여야만 유럽 열강의 틈바구니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고 일본은 그럴 필요가 지금까지는 없었다고도 말할 수 있겠습니다만, 어디까지나 도덕적인 관점에서…)

독재정권이 저지른 일이라도 그 바통을 이어받은 민주정권에서 마땅히 이를 그 나라의 역사로 받아들이고 왜 그런일이 일어났는지에 대한 분석과 비판, 대안을 제시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점에서 볼 때 북한시민들의 경우는 문자 그대로 참혹한 비극이죠. 이들은 민주정권을 세울 수 있는 기회마저도 ‘박탈당한 자’들입니다. 하루빨리 인류의 역사속에서 항상 증명되었던 독재정권의 필연적 종말이 북한정권에게 닥치기를 기원할 뿐입니다.

/////////////////////////////////////////////////////////////////////////////////////////////////////////
3. 내용을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독재정권이든 민주정권이든 절대왕정이든 모두 그 나라와 민족의 역사’ 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토론의 순수성을 신뢰합니다.
  • 서로간의 차이와 다양성을 존중합니다.
  • 소통과 공감을 최고의 가치로 여깁니다.
  • 지식과 지혜의 조건없는 공유를 지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