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토론대회정보
공지사항
토론서클
이슈토론
종합 포럼
정치 포럼
경제 포럼
사회 포럼
문화 포럼
교육 포럼
과학/IT 포럼
역사 포럼
철학 포럼
스포츠 포럼
환경 포럼
찬반토론
토론현황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과학/IT
역사
철학
스포츠
환경
토론배틀
여론조사
지식공유
문학
비문학
칼럼
시사퀴즈
논리사전
랭킹현황
과학/IT
/
찬반토론
회원가입
로그인
회원
최신
|
활동중
|
인기있는
아로아로멍멍
활동중 1 일, 6 시간 전
Xuan Thu
활동중 1 일, 8 시간 전
크루아나
활동중 2 일, 13 시간 전
10기
활동중 3 일, 9 시간 전
정남서
활동중 4 일, 12 시간 전
커뮤니티
합의된 성매매에 피해자가 존재할까
출산안해서 나라 망하겠다
저는 발해는 중국 역사라고 생각합니다...
낙태는 신생아 인권 침해의 문제가 아...
난민과 다문화 사회에 관한 의견을 들...
찬반토론
향후 자율 주행이 보급될 경우 운전면허는 필수인가?
반려동물 보유세 필요한가?
공무원 및 서비스직 웨어러블 캠 도입해야 하나?
인공지능 법관 필요한가?
비혼모 출산 허용해야 하나
문화칼럼
서편제
아날로그로 살아보기
중경삼림
장미의 이름
아이리시맨
방문자
현재접속자: 9
전체: 12,686,919
인류의 달 착륙은 거짓인가
1957년 소련은 세계최초로 인공위성을 개발하여 우주로 쏘아 올리며, ‘우주 강국’이라는 명성을 얻게 되었다. 이에 충격을 받은 미국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설립하여 적극적으로 우주개발에 나섰고, 존 F. 캐네디는 달 착륙 계획을 수립했다. 그렇게 1969년 7월, 3명의 우주비행사(닐 암스트롱, 에드윈 올드린 주니어, 마이클 콜린스)가 탑승한 아폴로 11호는 달에 착륙했다. NASA를 통해 약 5억 명의 사람들이 이 역사적인 장면을 목격했다. 그동안 신화나 상상으로만 가야 했던 달의 실체가 아폴로 11호의 우주탐험으로 드러난...
찬성 39%
반대 61%
주장 58
창조론은 세상의 기원을 설명할 수 있는가
창조론과 진화론은 오래된 토론의 명제 중 하나이다. 때로는 과학적인 근거로, 혹은 정황적인 논지로 치열하게 벌어지는 인류의 기원에 관한 두 가지 주장은 비록 명확한 정답이 도출되지 않더라도, 그 과정에서의 추론과 토론만으로 많은 이들에게 깨달음과 지혜를 제공한다. 창조론을 주장하는 이들은 과학의 이론적 설명의 한계를 지적한다. 비과학적인 일들이 무수히 실제하고, 인간의 지혜로는 도저히 설명할 수 없는 자연의 신비를 통해 절대자의 창조적 현상이 아니면 불가능한 일들을 그 예로 들곤한다. 그러나 진화론 옹호자들은 과학이 생명의 기원을...
찬성 44%
반대 56%
주장 152
온라인 게임셧다운제도는 폐지되어야 하나
게임셧다운제도는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명목으로 마련된 제도로. 2011년 5월 19일 청소년보호법 개정안에 따라 같은 해 11월 20일부터 시행되었다. 이 제도는'16세 미만의 청소년은 오전 0시부터 오전 6시까지의 심야시간동안 인터넷게임을 제한한다'를 골자로한다. 도입시에도 많은 논란과 부작용이 예상되었지만, 이후 2014년 위헌 확인 청구에 대해 헌법재판소가 합헌결정을 내리면서, 셧다운제도는 공고히 유지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이러한 규제는 게임산업과 환경에 관한 몰이해와 편견에서 시작된 것이라며 반대하는...
찬성 64%
반대 36%
주장 57
This house believes that the Internet is interfering with social development
Internet is the gigantic network which connects computers all over the world. It initially originated from military and scholastic industry. However, as personal computers were developed and distributed in 1980s, internet got developed dramatically.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World Wide Web and w...
찬성 33%
반대 67%
주장 6
백신거부는 정당한 권리인가
2015년 미국은 어린이들의 홍역 집단감염과 확산 소식으로 한 해를 시작했다. 사라진 줄 알았던 '과거의 병' 홍역은 디즈니랜드에서 발병하여 한 달 사이 100여명 이상 전염되었다. 이 사태의 원인은 부모들의 무조건적인 '백신접종'에 대한 거부감에서부터 출발한다. 실제 몇몇 백신이 아이에게 자폐증을 일으키는 등 부작용이 있다는 연구논문도 발표되었고, 백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수은이 첨가된 사실이 밝혀지기도 하였다. 백신을 거부하는 부모들은 부분별한 백신접종이 가진 위험성과 의료계 커넥션 등에 주목한다. 특히 '공중보건'이라는 명분...
찬성 46%
반대 54%
주장 106
This house think that usage of animal testing is right choice
Animal Testing refers to experimentation or scientific profess of research using animals for the purpose of science study, production of biological substance or education, testing and research. Animal Testing is performed in various forms. In medical or biology field, people observe the body parts o...
찬성 69%
반대 31%
주장 13
This house would allow the development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is a food that is modified to have genes or traits that are impossible to have through earlier breeding method, for increase of production and convenience. GMO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green revolution and uprising as the plan to solve the future food problem,...
찬성 30%
반대 70%
주장 10
This house Believes that Euthanasia should be allowed
Euthanasia refers to every action associated with death of a patient in order to alleviate the pain of the patient who entered the phase of death due to incurable disease. Issue regarding ethics and effect of euthanasia, in fact, has a very long history as it appears within the ancient western histo...
찬성 75%
반대 25%
주장 12
인터넷은 사회의 발전을 저해하는 도구인가
인터넷은 전세계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다. 최초 군사 및 학술사업에 기원을 가지고 출발했지만 80년대 개인용 컴퓨터가 개발, 보급 되기 시작하면서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였다. 특히 월드와이드웹과 웹브라우저의 개발은 일반 사용자들에게 인터넷을 사용하는 편리함을 가져다 주었고, 이는 인터넷의 보편화에 가장 큰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후 인터넷은 전세계 모든 이들에게 사업, 쇼핑, 놀이, 학습과 소통의 없어서는 안될 핵심 공간이 되었다. 한국은 2014년 기준으로 인터넷 이용인구가 3400만을 넘어섰다. 이는 총 인구 대비 인터...
찬성 36%
반대 64%
주장 63
This house would allow human cloning
Shoukhrat Mitalipov, a professor of Oregon College of Health Science at Portland, U.S.A, recently drew attention from all over the world by publicizing the success of cell cloning from stem cell embryo. Besides the hope for the benefits from the technology, there are many uprising voices that expres...
찬성 33%
반대 67%
주장 9
잊혀질 권리, 법적으로 보장받아야 하는가
잊혀질 권리는 인터넷에 기록된 자신과 관련된 각종 정보의 삭제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이다. 최근 인터넷의 각종 매체가 활성화되면서 인터넷상에 개인의 중요한 신상부터, 일상적인 신변잡기까지 수많은 정보를 올리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전의 인쇄매체 시대와는 달리 이러한 기록은 저장이 영구화되고 누구나 언제든지 그 기록에 접근이 용이해진데다, 최근 각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노출되고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양은 점점 많아지는 추세이다. 이렇게 보존된 개인정보를 남용할 소지가 커지면서 이에 대한 처리의 실무적인 부분뿐 아니라 그...
찬성 52%
반대 48%
주장 19
인터넷 실명제, 실시해야 하는가
21세기는 인터넷의 발달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서 이제는 실시간으로 뉴스를 전달하며 이에 맞춰 국민들의 의견을 예전보다 편하고 빠르게 수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의견을 제시하는 사람들도 익명성의 보장이라는 편의를 통해서 무겁고 어려운 주제에 대해서도 거침없이 의견을 제시하여 민주주의라는 현대 정치체제의 발달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이런 인터넷의 익명성에 기댄 사이버 범죄가 점차 늘면서 이에 관한 제한을 두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실제 인터넷실명제는 지방선거를 앞둔 2002년부터 이미 한동안 시행되었으나 지속적...
찬성 44%
반대 56%
주장 47
1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