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8년 10월 30일, 한국 대법원은 일본 기업인 신일본제철이 강제노역 피해자들에게 1억 원씩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일본은 이미 배상을 끝났다고 주장하며, 한국 정부에 3차례에 걸쳐 협의를 요청했다(2019년 1월 9일, 5월 30일, 6월 19일). 하지만 한국 정부가 응하지 않자 경제 보복을 시작했다(6월 29일). 최근에는 한국을 화이트 국가 리스트(안보신뢰대상국가)에서도 배제한다는 등의 안보 위협도 시작했다. 이에 대해 한국 정부는 범국가적 차원에서 강경 대응을 선언했다. 한편, 국민 여론도 일본에 대응해야 한다는 쪽으로 무게가 실리고 있다. 리얼미터 조사 결과, WTO 제소 등 국제법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응답이 45.5%, 수출입 규제 등 맞대응이 24.4%로 약 70%에 달했다. 실제로 국민들은 자체적으로 일본 제품 불매운동을 시작했다. 7월 18일 기준으로 불매운동 시작 일주일만에 참여자는 약 55%에 달했고, 향후 참여 예정이라고 밝힌 사람까지 더하면 모두 66%였다. 정부와 국민 모두 일본에 강경 대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