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은 사회의 발전을 저해하는 도구인가
discussion
인터넷은 전세계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다. 최초 군사 및 학술사업에 기원을 가지고 출발했지만 80년대 개인용 컴퓨터가 개발, 보급 되기 시작하면서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였다. 특히 월드와이드웹과 웹브라우저의 개발은 일반 사용자들에게 인터넷을 사용하는 편리함을 가져다 주었고, 이는 인터넷의 보편화에 가장 큰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후 인터넷은 전세계 모든 이들에게 사업, 쇼핑, 놀이, 학습과 소통의 없어서는 안될 핵심 공간이 되었다. 한국은 2014년 기준으로 인터넷 이용인구가 3400만을 넘어섰다. 이는 총 인구 대비 인터넷 이용자 비율 81.1%를 넘어서는 것으로, 인터넷의 엄청난 사회적 영향력을 증명하는 수치이다. 인구대국 중국의 절반인 6억명이 하루 평균 3시간이상 인터넷 안에서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는 신화통신의 뉴스는 ‘인터넷’이 가지는 규모와 힘을 수치화해 보여주고 있다.
인터넷은 정보전달과 공유의 방법을 근원적으로 변화시켰다. 뉴스와 이슈는 거의 실시간으로 세계에 전파되고, 블로그, 포럼, SNS를 통해 전세계적으로 논의된다. 사회적 관계망은 오프라인의 만남에서 온라인 상의 접촉으로 대체된지 오래다.
그러나 인터넷의 편리가 인간의 삶의 질을 전체적으로는 하락시킨다고 경고하는 목소리도 존재한다.
특히 인터넷에서의 관계가 실제 인간의 긍정적인 만남의 가능성을 차단하고, 나아가 부정적인 방향으로 왜곡시킨다는 회의적인 연구결과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물론, 여전히 인터넷이 우리의 삶을 더 나은쪽으로 발전시키고 있다는 의견도 여전하다. 과연 인터넷은 우리 사회의 건강한 발전에 해가되는 악마의 도구인가.
data
a. 인터넷(internet)-전세계를 하나로 연결하는 정보의 바다 : 네이버캐스트
b. 한국에서 인터넷 정치참여와 민주주의 : 참여민주주의와 대의민주주의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 조석장 – 한양대 박사학위논문 2009. 국회전자도서관
c. 인터넷과 가상경제 – 커뮤니케이션북스 : 네이버지식백과
news
인터넷왜곡정보폐해, 어떻게 할 것인가(2009,01,05. 중앙뉴스)
사이버 공간 ‘잠재력을 키워야 하나, 폐해를 막아야 하나'(2013,10,17. 뉴시스)
교황 “인터넷은 신이 주신 선물”(2014,01,24. 서울신문)
‘인터넷+’, 경제잠재력 촉진…온라인 판매 41.3%↑'(2015,04,28. 북경신보)
pros opinion
a. 인터넷은 언제나 왜곡되기 쉽다.
현재의 인터넷은 가장 강력한 정보취득의 공간이다. 그러나 온라인정보라는 것은 신문, 책, TV프로그램과 같이 최소한의 검증을 거치지않은 내용들로 가득차 있다. 작게는 판매를 위해, 크게는 정치적 목적을 위한 거짓정보들은 이미 우리 사회를 혼란시키는 주된 원인이 되어있다. 심지어 한번 공개된 잘못된 정보는 바로 잡는것이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라는 점도, 인터넷이 주는 큰 폐해이다.
b. 개인의 사생활 노출을 막을 수 없다.
모든 사람의 개인정보가 인터넷에 떠돌고 있다. 그 원인이 비윤리적인 상거래이든, 악의없는 수집이든 간에 우리의 모든 정보가 다른사람에게 노출된다. 신상에 관한 정보뿐 아니라 우리의 숨기고 싶은, 혹은 노출을 원하지 않는 개인적인 생활 또한 변명의 기회조차 얻지 못하고 확대재생산되기에 이른다. 결국 이런 약점은 권력에 의해 ‘빅브라더’의 탄생마저 우려되며, 이것은 인터넷의 가장 큰 해악이 될 가능성이 충분하다.
cons opinion
a. 인터넷이 민주주의의 발전을 가져왔다.
인터넷은 소시민이 행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이고 강한 민심의 소통창구이다. 과거에는 몇몇 특수한 계급과 위치에 있는 사람만이 정치적인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있었고, 그런만큼 민주주의를 왜곡하고 권력을 독점하는 사례도 많았다. 그러나 현재 인터넷은 그런한 독점권력을 감시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북한을 비롯한 독재국가가 인터넷을 통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를 떠올려보자.
b. 경제적인 풍요와 창조적인 발전을 가져온다.
인터넷은 전세계를 상대로 경제적 행위를 할 수 있는 유일한 창구이다. 이것은 국가적으로도, 개인적으로도 경제발전의 폭넓은 기회와 가능성을 제시한다. 업무적으로도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는 팀프로젝트 등 효율적인 방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업무의 축소와 효율성의 극대화는 많은 상품을 더 싸고, 더 쉽게 제작하고 구입하는 경제시스템의 혁명을 가져왔다. 디지털시대의 장점은 결국 모두의 삶의 질을 조금 더 풍요롭게 만들어주고 있다.
reference
한국인터넷진흥원 지금 인터넷 자유주의를 강조하는 이유- 조중혁 칼럼
Opin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