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교육에서의 한자교육 강화, 필요한 정책인가
토론에 참여하시기 전, 주제에 관한 현재의 의견을 밝혀주세요 : 중립
현재 중립에 있는 네모를 드래그하셔서 매우찬성, 찬성, 중립, 반대. 매우반대로 옮겨주시면 의견이 반영됩니다.
discussion
작년 말 서울시 교육청이 올해 예산에 초·중학교 한자교육 지원을 위해 3억2550만원을 편성한 것에 대해 논란이 여전하다. 이러한 서울시교육청의 한자교육 관련 예산 편성은 작년 7월 당시 문용린 서울시교육감이 초등학생이 한자를 몰라 교과서에 나오는 낱말 뜻을 이해하기가 어렵다며 한자교육 강화를 주장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 당시 37개 한글단체와 교육시민단체는 한자 교육 강화는 한자 사교육을 불러일으키고 국어교육을 망치는 길이라고 주장하며 국어교육에 대한 개선이 먼저라고 주장했다. 이런 반응에 대한 서울시 교육청의 반응은 사회를 비롯한 대부분의 과목에 한자어가 상당수 존재하기 때문에 한자교육을 통해 관련 과목의 개념들에 대해 보다 정확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한자 사교육이 일어날 수 있다는 지적에는 요즘 중국어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한자를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고 학교에서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오히려 사교육을 경감할 수 있다고 설명한바 있다.
한자교육 강화는 한자를 모르는 세대를 위해 필요한 방침인가.
data
한자문화권(위키백과)/동아시아의 문화기호 ‘한자'(2014.04.11 아주경제)
[지금 논쟁 중]초등학교 한자교육 강화(2013.07.11 경향신문)
news
‘報告書’도 못읽는 ‘漢字 까막눈’ 김 과장(2014.03.19 한국경제)
pros opinion
a. 기본적인 한자어도 모르는 한자 문맹심각, 한자교육필요하다.
국어의 상당수가 한자어가 많고 초중고 교육과정의 대다수 과목의 개념어들이 한자어이다. 학생들의 어휘력 상승과 타과목 개념어들에 대한 정확하고 빠른 이해를 위해 한자교육은 필수적이다.
b. 중국어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한자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중국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며 관련 자격증이나 학원들이 문전성시를 이루면서 한자및 중국어 사교육이 성행하고 있다. 오히려 학교차원에서의 교육을 통해 사교육및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ons opinion
a. 한자교육 실시가 아니라 국어교육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교과서에 나오는 한자어가 어렵다면 한자를 가르치는 게 아니라 그런 단어를 우리말로 쉽게 대체하는 게 우선이다. 한자교육에 앞서서 국어교육에 대한 개선과 일선 교사들의 목소리를 듣는 일이 시급하다.
b. 한자교육을 실시하면 한자 사교육을 부추길 것이다.
초등학교 3학년과정에 영어과목이 들어가면서 우리 사회에는 영어조기교육과 사교육이 활성화되는 등 아직도 그 폐해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처럼 비록 방과 후 지원자에 한하는 방침일 지라도 한자에 대한 조기교육은 나아가 한자 사교육을 부추길 것이다.
reference
Opinions
찬반토론에 참여하기 전에 읽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