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면무상급식, 계속 추진해야 하는가
토론에 참여하시기 전, 주제에 관한 현재의 의견을 밝혀주세요 : 중립
현재 중립에 있는 네모를 드래그하셔서 매우찬성, 찬성, 중립, 반대. 매우반대로 옮겨주시면 의견이 반영됩니다.
discussion
무상급식은 세금을 재원으로 하여 학생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급식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저소득층과 사회적 약자를 위해 실시되는 경우가 많지만, 지역과 현장에 따라 전면적으로 무상급식이 시행되는 경우도 있다. 18대 국회의 무상급식 논란 이후 몇년이 지난 지금, 전국 초등학교의 94.6%, 중학교는 75% 가량이 전면무상급식을 시행하고 있다.(2013년 기준) 특히 서울, 인천, 광주,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남, 제주는 지역 내 모든 시군구에서 초등학교 전면 무상급식을 100% 시행한다. 통계에서 보듯 의무교육의 전면 무상급식이 점차 보편화 되고 있음에도, 사실 정치권을 비롯한 각계에서는 여전히 전면무상급식의 비효율성 등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계속되고 있다. 실제로도 OECD 국가 중 전면무상급식을 실시하는 국가는 핀란드와 스웨덴 2개국 뿐이며, 소위 선진국으로 분류되는 나머지 나라들도 저소득층 자녀에게만 급식을 지원하고 있다. 결국 이러한 국제적 통계는 교육현장에서의 무상급식은 매우 중요한 일임에는 틀림없으나, 그 재원부담이 만만치 않다는 점을 반증한다.
소득과 상관없는 전면무상급식, 계속 추진해야 하는가.
data
통계청-학교급식실시현황
e-나라지표>부문별지표>사회>교육>초중등교육>학교급식실시현황
news
무상급식에 5년간 9조원…공교육 예산 구멍 (2014.03.04 문화일보)
pros opinion
a. 교육에 지출되는 비용은 가장 확실한 투자이다.
의무교육을 무상으로 시행하는 것은 헌법에 명시된 국민의 권리이다. 교육활동 중 벌어지는 급식을 위해 들어가는 세금은 낭비가 아니라 가장 확실한 투자이자, 꼭 필요한 재원이다.
b. 전면 무상급식은 차별없는 교육의 제1조건이다.
민감한 학생시절의 낙인효과와 그 상처는 평생을 가지고 가야한다. 과거 교실에서 공개적으로 부모님이 무엇을 하시는지, 집에 차는 있는지 손을 들어 확인하던 시절이 있었다. 학생들의 인권은 생각하지 못했던 몰지각한 사회적 풍토가 낳은 결과이다. 선별적 무상급식은 또 다른 상처를 낳는다. 모두에게 같은 조건으로 공급하는 것이 교육적으로나, 윤리적으로나 적절하다.
cons opinion
a. 한정된 세수에 의해 결국 저소득층을 위한 다른 예산이 삭감될 것이다.
실제로 지난 몇년간 학교보건시설의 개선확충 비용, 과학실험실 현대화 비용, 저소득층 자녀학비지원 비용 등이 전액, 혹은 부분적으로 삭감되었다. 정말 필요한 부분에 세금을 지원하지 못하는 보여주기식 정책이 부른 부작용은 이미 예견되어 있었다.
b. 보편적 복지는 복지를 위한 과잉복지이다.
보편적 복지의 비효율성은 따로 언급할 필요가 없다. 선별적인 복지지원을 통해 넉넉한 가정에 지원하던 급식비용을 어려운 가정에 돌려 더욱 유용하게 이용할 필요가 있다. 무상급식은 정치적 포퓰리즘의 전형이나 다름없다.
reference
포퓰리즘 전면 무상급식 추진 반대 공동선언 – 한국교총 (2010. hwp파일 다운로드 링크)
친환경무상급식 4년, 성과와 과제 (2014. 참여연대 기획연재물 링크)
Opinions
찬반토론에 참여하기 전에 읽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