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대희 국무총리후보 사퇴
야당 “안대희 사퇴 당연…김기춘 책임져야”
야당은 28일 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의 사퇴에 당연한 일이란 반응을 내놓으며 청와대 김기춘 비서실장의 책임론을 제기하고 나섰다.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공동대표는 이날 “늦었지만 당연한 일이다. 세월호 참사에 대한 진상규명과 대책마련에 앞서 서둘러 임명한 결과”라며 “앞으로 임명할 총리 후보자는 박근혜 대통령이 대선 때 공약했던 것처럼 국민통합을 이룰 수 있는 인사로 인재풀을 넓혀 인선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한길 공동대표는 “국민들이 수긍한 만한 후보를 냈다면 얼마나 좋았겠는가. 인사검증 시스템의 무능을 또 한 번 드러낸 거 아니겠나”며 “국무총리 후보를 내놨다가 사실상 국민들로부터 거부당한 셈이다. 거기에 대한 책임은 당연히 져야 하는 것 아니겠는가”라고 밝혔다.
박광온 대변인은 이날 오후 현안논평에서 “국무총리 내정자가 청문회 전에 사퇴한 것은 국가적으로 안타까운 일이지만 국민의 눈에서 볼 때는 당연한 일”이라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국민을 위한 인사가 아닌 청와대를 위한 인사의 결말”이라며 “국가재난대응시스템의 붕괴에 이어 청와대 인사 시스템이 붕괴된 결과”라고 지적했다.
박 대변인은 “인사 추천과 검증을 책임지는 김기춘 비서실장은 이 사태도 책임져야 한다. 김 실장이 사퇴해야 할 이유가 하나 더 늘었다”며 “대통령을 바꾸자는 게 아니다. 대통령더러 바뀌라는 것이다. 대통령이 바뀌려면 김기춘 실장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변인은 “차기 총리와 내각은 철저한 검증을 거쳐 국민통합에 기여하고 국민의 아픔과 눈물을 닦는 인물로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서 신중을 기해 인선하길 바란다”고 청와대에 요구했다.
같은당 유은혜 원내대변인도 논평에서 “안 후보자는 국민의 정서에 맞지 않는 후보였다. 청와대 참모진의 무능력과 무감각이 다시 확인됐다”며 “지금 해결해야할 대한민국의 모든 문제가 기춘 대원군의 벽에 가로막혀 있다”고 지적했다.
김기식 새정치연합 의원도 성명에서 “관피아 척결을 맡을 총리 후보자로 전관예우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안 후보자를 지명한 것 자체가 부적절한 인사였다”며 “이번 인사를 주도한 김 실장 이하 청와대 인사라인은 이 결과에 책임을 지고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정의당 천호선 대표는 28일 오후 안대희 총리 후보의 사퇴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의 패착이며 그 책임은 박근혜 대통령에게 있다”고 비판했다.
천 대표는 “아직도 박 대통령은 무엇을 바꿔야하는지, 어떤 총리가 필요한지 파악하지 못했다”며 “관료마피아를 혁파하는데 관료마피아와 다르지 않을 뿐 아니라 자기 대선 캠프출신인 안대희 전대법관이 적절치않다는 것은 원칙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천 대표는 그러면서 “세월호 구조 실패, 정홍원 총리 사퇴소동에 이어 또 하나의 중대한 실책이며 무능력을 드러냈다”며 “정치적으로 확고한 중립이고 개혁을 추진할 자격을 갖춘 총리후보를 내놓아야한다. 혼자서 입맛에 맞는 사람 구하려 하지 말고 야당과도 의논할 수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충고했다.
이정미 정의당 대변인은 “이제까지 인사방식에서 전혀 벗어나지 못하고 또 다시 자기 사람을 수족 부리듯 하려다 인사사고가 터진 것이다. 이런 상태로 총리를 두 번 세 번 바꾸면 무엇하나. 어차피 이 나라 실세총리는 김기춘 비서실장 아닌가”라며 “이제 더 이상 버티지 마시라”고 논평했다.
김재연 통합진보당 대변인은 “안대희 후보자 사퇴는 당연한 처사”라며 “도덕적 기준도 없고, 국민 정서도 무시해버린 청와대의 무책임한 인사 검증에 대해 김기춘 비서실장이 책임져야 한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번 인사 실패의 책임을 물어 김기춘 비서실장을 경질하라”고 논평했다.
한편, 정치 컨설턴트인 김능구 <폴리뉴스> 대표는 지난 27일 채널A ‘정용관의 시사병법’에 출연해 “온 국민이 법조 비리의 핵심이 전관예우라는 것을 다 알고 있는 상황에서 박근혜 정부에도 엄청난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며 “박근혜 대통령이 안대희 국무총리 후보 인선을 철회해야 한다”고 밝혔다.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206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