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복제로 향하는 길, 허용되어야 하는가
토론에 참여하시기 전, 주제에 관한 현재의 의견을 밝혀주세요 : 중립
현재 중립에 있는 네모를 드래그하셔서 매우찬성, 찬성, 중립, 반대. 매우반대로 옮겨주시면 의견이 반영됩니다.
discussion
최근 미국 포트랜드 오리곤 보건과학대학 교수인 Shoukhrat Mitalipov가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복제를 성공했다는 소식이 주목을 받았다. 기술이 가져다 줄 희망과 함께, 한편으로는 먼 미래의 문제이지만 인간복제가 불러올 비윤리적인 사안들에 관한 혼란과 우려를 표하는 의견도 많다.
과학의 발전과 더불어 전통적인 인간 개념이 도전받고 있다. 유전학 혁명과 더불어 인간 복제기술이 내포하고 있는 새로운 인간 개념과 전통적인 인간 개념 사이에 생길 수 있는 갈등은 이제 현실적으로 조금씩 다가오고 있다. 공상 과학소설에서나 있을 법했던 상상이 손에 잡힐 듯 가까워졌다. 그러나 과학계에서는 합리적인 가능성을 생각하면 인간의 복제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부질없는 일이라 주장한다. 수 많은 동물복제 실험들에서 나타났듯이 복제에 성공할 확률 자체가 매우 낮고, 복제에 성공한 동물들 또한 짧은 수명과 기형이 나타나는 등 인간복제의 비현실성을 드러내는 실험결과들을 그 근거로 하는 주장이다.
그러나 과학은 계속적으로 발전하고, 그 속도 또한 우리가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진화한다. 실제 국내의 연구진도 성인 체세포로 복제배아줄기세포의 확립에 성공하는 등, 불가능해보이던 여러 실험들이 성공하며 조금씩 인간복제의 가능성을 높여가는 중이다.
의학적 효용성과 과학의 발전을 위해 그 기술적 발전에 박차를 가해야한다는 주장과 인간의 존엄성과 비윤리적 악용에 관한 우려를 표하는 의견이 언제나 충돌하는 인간복제의 문제, 우리는 그 미지의 영역에 계속 도전해야 하는가.
data
a. 복제(생물학) 위키백과
.
b. 인간복제(人間複製, human cloning)
인간복제는 인간의 세포(체세포)를 떼어 내어 이를 착상시키는 방법으로 유전적으로 동일한 또다른 인간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뉴욕타임스>가 1993년 10월 24일 첫 보도한 것이 전 세계적인 이슈로 확산되었다. 인간복제와 관련, 이 신문이 사용한 용어는 ‘cloning of human embryos(인간 배아의 복제기술)’이다.
.
c. 인간게놈과 인권에 관한 보편선언(Universal Declaration on the Human Genome and Human Rights 1997.11.11)
제 29차 유네스코 총회 채택 선언문 –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전문링크
news
美, 세계 최초 인간 폐 복제 성공…“재생의학 혁명”(2014.02.15 미디어펜)
“치료용 줄기세포, 기술 종교적 환상”(2013.05.20 프레시안)
국내 연구진, 성인 체세포로 복제배아 줄기세포 첫 확립(2014.4.18 사이언스온)
pros opinion
a.현대의학으로 치료가 불가능한 병, 신체장애 등의 문제가 해결된다.
인간복제의 기술은 갑작스런 사고 등으로 평생 불구의 몸을 갖게 된 환자들 또는 현대의학으로 치료가 불가능한 병에 걸린 이들에게는 마지막 희망이다. 유전적으로 완전히 동일한 복제된 장기는 전혀 거부반응 없는 이식이 가능하고, 현재에도 장기기증자를 찾아 죽음의 날만을 하염없이 기다리는 수많은 이들에게 유일한 해결책이기도 하다.
b. 불임문제의 해결
최근 통계로 부부 7쌍중 1쌍은 불임이며, 이 수치는 계속 늘고있다. 요염된 환경과 각종 호르몬, 항생제 주사를 투입한 음식물의 섭취는 세계적으로 불임인구를 늘리고 있으며, 이는 전세계적인 고민거리의 하나이다. 자신의 유전자를 다음세대로 전하는 것은 본능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꼭 필요한 인간의 욕망이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ons opinion
a.인간의 복제는 비윤리적이다.
인간의 복제는 기본적으로 올바른 일이 아니다. 본체와 클론의 문제는 수많은 영화와 소설들에서 등장하여 그 윤리적 문제를 끊임없이 경고하고 있다. 복제된 인간에게 삶의 선택권은 보장되지 않을 것이며, 보장된다 해도 인간의 존엄성을 크게 훼손하는 일들이 예상된다.
b.완벽한 인간에 관한 구분과 차별을 불러온다.
독일이 자행한 소위 ‘인종청소’는 불과 백년도 안된 이야기이다. 인간복제는 완벽한 인간에 관한 잘못된 갈망과 편견을 가속화 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더 나은 유전자, 더 완벽한 인간에 관한 잘못된 망상이 가져올 불행은 따로 나열할 필요가 없다.
reference
위키스페이스 / What are the problems of cloning?
translate
this-house-would-allow-human-cloning
Opinions
찬반토론에 참여하기 전에 읽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