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을 위한 동물실험은 계속되어야 하는가
토론에 참여하시기 전, 주제에 관한 현재의 의견을 밝혀주세요 : 중립
현재 중립에 있는 네모를 드래그하셔서 매우찬성, 찬성, 중립, 반대. 매우반대로 옮겨주시면 의견이 반영됩니다.
discussion
동물실험이란 교육, 시험, 연구 및 생물학적 제제의 생산 등 과학적 목적을 위해 동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실험 또는 그 과학적 절차를 말한다. 동물실험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의학이나 생물학 분야에서는 해부를 통해 동물의 생체를 관찰하거나 유전적 특징, 성장 과정, 행동 양식 등을 연구하기도 하고, 때론 의약품의 원료가 되는 재료를 채취한다. 하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동물실험은 새로운 제품이나 치료법의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비단 의약품뿐만 아니라 농약이나 화장품, 식품 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동물을 이용한 실험은 제약, 생명 과학, 해부학과 같은 순수 과학에서부터 응용과학의 분야까지 그 분야는 나날이 넓어지고 있다.
그 필요성을 떠나 인간이 과연 동물들을 마음대로 이용하고 실험의 대상으로 삼을 권리가 있는 지에 대한 논쟁이 여전히 제기되는 가운데 동물실험은 지속되어야 하는 것인가
data
a. 동물실험의 각종 사례
설파닐아미드 사태(1937): 동물임상실험을 거치지 않고 사람들에게 바로 새로 개발한 항생제를 사용한 후 107명의 사람들이 부작용으로 사망하엿다.최근 큰 이슈가 됬던 가습기 살균제 사고 또한 이후 동물 실험(쥐) 결과 문제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모건의 유전자 실험(1926): 인간에게 실험하면 210년이 걸릴 실험을 초파리에게 실험을 하여 색맹이나 혈우병과 같은 반성 유전을 짧은 기간에 알아내어 적용하였다.
파스퇴르의 실험(1862): 광견병 연구의 결과인 예방접종의 원리로 아이들에게 위험한 홍역, 풍진 등의 예방접종을 개발하였다. 기본적으로 인간을 위한 예방접종, 각종 질병의 치료제는 대부분 동물임상실험의 결과이다.
탈리도마이드 부작용(1961) : 수면제인 탈리도마이드의 부작용은 모든 비극적인 부작용 사례 중 가장 유명한 것이었다. 1956년 이후 이 약물 사용으로 기형아 출산이 속출하자 과학자들은 다양한 동물을 대상으로 기형 발생을 재현하려 했다. 그러나 이런 부 작용은 동물에서 확인되지 않았고 약물 사용은 허용됐다. 정상 분량의 수십~수백 배를 토끼·침팬지 등에 투여하고서야 부작용을 뒤늦게 확신한 제약사는 1962년에야 이 약물을 리콜했다. 1만명 이상의 신생아들이 불구로 태어난 이후였다.
b. 동물실험의 원칙(3R 원칙)
Reduction, 가능한 한 적은 수의 동물을 이용한다.
Replacement, 실험을 시작하기 전 대체 가능한 방법이 없는지 모색해야한다.
Refinement, 실험 진행 중에는 동물이 고통을 받지 않고 동물의 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동물 실험을 해야 한다.
동물실험에 관한 윤리적 규정을 제공하는 3R은 세계의 공통 적용 사항이며, 한국의 동물 실험자들도 국제윤리규정에 맞추어 위령제 등을 통해 존엄한 죽음에 대해 경의를 표하고 있다.
news
화장품 동물실험 전면 금지 어려울 듯(2013.09.02 약업신문)
pros opinion
a.동물 실험을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법을 개발하여 더 많은 수의 생명을 살릴 수 있다.
과거에 진행된 동물실험을 통해 우리는 다양한 질병에 대해 알 수 있게 되었고, 또 그 치료법을 발견해 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다.
b.동물실험은 불가피한 선택이다
동물실험을 대체할 현실적인 대안은 여전히 부재하다.
현대의 과학기술 발전으로 가능하게 된 컴퓨터 시뮬레이션이나 인공으로 제작한 조직을 이용하여 동물실험을 대신 할 수 있지 않는가라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컴퓨터 시뮬레이션의 경우,기존의 데이터 값만 입력한 것이기 때문에 불완전한 면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정 과학물질이 생명체의 적용되었을 때의 특성과 부작용을 완벽히 재현해 낼 수 없다.
cons opinion
a.동물실험은 실효성이 부족한 불필요한 실험이다.
인간과 동물이 공유하는 질병은 인간이 가진 전체 질병의 단 1.16%입니다. 또한 동물실험으로 검증되어도 거부반응이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b.생명경시풍조를 불러일으킨다.
동물권은 동물의 권익을 지칭하는 말로써 단순히 고통을 피할 권리 또한 포함하고 있으며 인간과 같은 지구상의 한 개체로써 인정받아야 한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 그 어떤 구실을 만든다해도 동물의 입장에서 바라본 동물 실험은 비윤리적이며 동물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것이다. 특히 인간 생명과 직결된 실험이 아닌데도 이를 위해 동물들에게 고통을 가하는 것은 불합리하다.
reference
Opinions
찬반토론에 참여하기 전에 읽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