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 개인의 책임인가
토론에 참여하시기 전, 주제에 관한 현재의 의견을 밝혀주세요 : 중립
현재 중립에 있는 네모를 드래그하셔서 매우찬성, 찬성, 중립, 반대. 매우반대로 옮겨주시면 의견이 반영됩니다.
discussion
청년 실업이란 일을 할 수 있고 또 일을 할 cheap mlb jerseys 의사도 있는 청년들이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거나 일할 기회를 가지지 못하는 일을 말한다.
청년실업은 고용없는 Bounty 성장의 분위기가 맞물려 나타나는 대표적인 사회적 현상이며, 일자리 자체가 줄어드는 경우, 기업의 경력직 선호, 구직자의 중소기업 기피 등이 그 원인으로 꼽힌다. 많은 이들이 ’88만원 세대’로 대표되는 저임금노동 착취 구조를 청년실업의 원인으로 생각하여, 정부의 책임론이 가중되어 매 정권마다 청년실업의 대책마련에 박차를 가했으나 큰 성과는 보이지 못하고 Top 있는 Dünyan?n 상태이다. 반면 기본적으로 이 문제는 정부의 노력과는 별개로, 개인의 책임에 cheap mlb jerseys 더 무게를 두는 의견도 적지 않다.
과연 현재의 청년 실업 문제는 준비 없는 청년들 개인의 책임으로 보아야하는가
data
a. 취업자 수와 실업률 추이
[단위 : 만명, %] 더 자세한 정보를 보기 위한 통계청 링크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06월 |
2013 07월 |
2013 08월 |
2013 09월 |
2013 10월 |
2013 11월 |
|
---|---|---|---|---|---|---|---|---|---|---|---|
취업자 증감 | 14.5 | -7.2 | 32.3 | 41.5 | 43.7 | 36.0 | 36.7 | 43.2 | 46.3 | 47.6 | 58.8 |
– 농림어업 | -3.7 | -3.8 | -8.2 | -2.5 | -1.4 | -1.9 | 0.3 | 2.8 | 2.6 | 1.5 | -3.1 |
– 제조업 | -5.2 | -12.6 | 19.1 | 6.3 | 1.4 | 9.6 | 5.3 | 0.5 | 2.1 | 3.1 | 3.5 |
– 건설업 | -3.7 | -9.1 | 3.3 | -0.2 | 2.2 | 0.3 | 1.1 | -0.7 | 0.7 | -1.4 | -1.8 |
– 서비스업 | 26.0 | 17.9 | 20.0 | 38.6 | 41.6 | 26.2 | 28.2 | 38.6 | 39.7 | 43.2 | 59.8 |
실업자 | 76.9 | 88.9 | 92.0 | 85.5 | 82.0 | 81.3 | 82.8 | 78.3 | 72.0 | 72.4 | 70.0 |
실업률(%) | 3.2 | 3.6 | 3.7 | 3.4 | 3.2 | 3.1 | 3.1 | 3.0 | 2.7 | 2.8 | 2.7 |
청년실업자 | 31.5 | 34.7 | 34.0 | 32.0 | 31.3 | 32.7 | 35.2 | 31.3 | 32.0 | 31.8 | 30.9 |
청년실업률(%) | 7.2 | 8.1 | 8.0 | 7.6 | 7.5 | 7.9 | 8.3 | 7.6 | 7.7 | 7.8 | 7.5 |
b. 청년실업관련 기획분석 자료
청년고용정책 현황 및 향후 추진방향(2012.9 정책해설 – 이태희 고용노동부 인력수급정책관) : PDF 다운로드
news
윤증현 “韓 청년실업 심각하다” 경고(뉴스웨이 2014.2.14)
청년실업률 8.7% 4년만에 최악(매일경제 2014.2.12)
pros opinion
a. 구직자의 눈높이가 너무 높아졌다.
청년 구직자의 대부분이 대졸이상의 고학력이다 보니 너도나도 대기업이나 공기업, 공무원 또는 사무직에 ???? 눈높이를 맞추고 있다. 결국 사무직이라도 근로조건이 낮거나 생산직을 필요로 하는 중소기업에서는 심각한 To 구인난을 겪고 있는 반면에 청년 구직자들은 wholesale mlb jerseys 직장을 구하지 못하는 미스매치의 문제가 ????? 일어나게 되었다.
cons opinion
a. 중심경제권에 청년들을 편입시키기 위한 정부의 노력부족이다.
정부의 잘못된 정책으로 인해 청년실업이 보다 심화되었다. For 고용을 늘리기 위한 정책적 cheap nba jerseys 대안으로 대기업들이 나서서 고용을 늘리도록 정책적으로 독려가 필요하다. 현정부가 내세우는 해결책인 시간제일자리는 청년실업을 고착화시키는 임시방편이다.
Opinions
찬반토론에 참여하기 전에 읽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