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명을 동시에 사랑하는 것이 가능한가
토론에 참여하시기 전, 주제에 관한 현재의 의견을 밝혀주세요 : 중립
현재 중립에 있는 네모를 드래그하셔서 매우찬성, 찬성, 중립, 반대. 매우반대로 옮겨주시면 의견이 반영됩니다.
discussion
최근 JTBC 드라마 <부부의 세계>는 역대 비지상파 드라마 부분 시청률 1위를 돌파하는 등 화제의 중심이 되고 있다. 불륜을 소재로 한 드라마는 기존에도 많았지만, <부부의 세계>는 단순한 권선징악의 구조를 넘어, 복잡하게 얽힌 부부 관계를 묘사해서 더 공감을 사는 것으로 보인다. 드라마의 핵심이기도 한 ‘복잡한 사실’은 불륜이 들통나 이혼한 주인공 부부가 여전히 서로에 대한 마음을 정리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즉, 상대를 사랑하지 않아서 불륜을 저지르고 결국 헤어지게 된다는 기존 공식과 달리, 사랑함에도 불구하고 불륜을 저지를 수 있다는 것이 이 드라마의 한 관점이다. 실제로 불륜을 저지른 남자 주인공은 “두 사람에 대한 마음이 모두 사랑”이라며 ‘진심으로’ 하소연하기도 했다. 과연 두 명을 동시에 사랑하는 것이 가능할까?
pros opinion
a. 사랑에는 여러 유형이 있다.
사랑이 1:1 관계에서만 성립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두 명을 동시에 사랑할 수 없다. 하지만 사랑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가령, 과거에는 대부분의 사회가 일부다처제였는데, 그 안에서 문제없이 사랑했다. 또한, 현재 폴리아모리(비독점적 다자연애)를 지향하는 사람들도 소수지만 존재한다. 여성을 소유물로 봤던 과거 일부다처제 시대에 사랑이 불가능했다고 말하려면, 서로를 소유하려 하는 1:1 독점 관계도 사랑으로 볼 수 없다. 그렇게 사랑을 정의하려면, 폴리아모리야말로 가장 사랑에 가깝다. 당연히 두 명 이상을 동시에 사랑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폴리아모리가 정답이고 현재의 방식이 틀렸다고 말할 순 없다. 다만, 다양한 종류의 사랑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인정해야 한다. 나와 다르다는 이유로 타인의 사랑을 부정할 순 없다.
b. 사랑은 감정이 아니다.
사랑이 상대만 생각하는 감정이라면, 두 명을 동시에 사랑할 수 없다. 문제는 그 전제에서는 한 사람도 사랑할 수 없다는 점이다. 아무리 불탔던 관계라도 시간이 흐를수록 서로에 대한 감정은 시들게 된다. 또한, 감정은 늘 수동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그것을 사랑의 유일한 기준이라고 할 순 없다. 사랑은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작용이다. 감정, 지성, 취미, 비전 등 다양한 것을 공유하며 사랑할 수 있다. 한 명의 상대와 모든 것을 공유할 수 없다면, 얼마든지 다른 사람과도 할 수 있다. 물론 한국의 법과 문화는 1:1 관계만 인정하기에, 상대를 속이고 다른 사람을 만나는 것은 용납될 수 없지만, 법과 문화가 용납하지 않는다고 해서 사랑이 아닌 것은 아니다.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도 존재한다.
cons opinion
a. 상대를 속이며 사랑할 순 없다.
두 사람을 동시에 사랑한다면, 최소한 한 명이나 두 명을 모두 속여야 한다. 그런 특별한 관계를 모두에게 오픈한 케이스가 예외적으로 있을지 모르겠지만(폴리아모리 등), 일반적으로는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두 명을 사랑하려면 상대를 속여야 한다. 사랑하는 사이에도 모든 것을 말할 순 없겠지만,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숨기고 “너만 사랑해”라고 말하는 것은 직접적이고 고의적인 거짓에 해당한다. 따라서 그것이 사랑이 아님은 물론이고, 오히려 악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b. 두 명에 대한 사랑은 자신을 위한 이기적인 행동이다.
두 사람을 사랑하는 것은 각 사람이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각각 충족할 수 있기에 두 사람을 사랑하게 된다. 이렇게 내 마음에 드는 부분만을 선택하는 것은 사람에 대한 사랑이 아니라, 물건을 고르는 것과 같다. 사랑은 좋은 면만이 아니라 부정적인 면까지도 포함한다. 어려움, 위기, 희생, 고통까지도 사랑의 한 부분이다. 만약 사랑하는 사람에게 좋은 것만 얻으려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결국 두 번째, 세 번째 사람을 찾게 될 것이고, 더 얻을 게 없다면 얼마든지 현재 사랑하는 사람을 떠날 수 있다. 그런 사람은 아직 사랑할 준비가 되지 않은 것이다.
Opinions
찬반토론에 참여하기 전에 읽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