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무투표제는 필요한 정책인가
토론에 참여하시기 전, 주제에 관한 현재의 의견을 밝혀주세요 : 중립
현재 중립에 있는 네모를 드래그하셔서 매우찬성, 찬성, 중립, 반대. 매우반대로 옮겨주시면 의견이 반영됩니다.
discussion
가장 최근에 치뤄졌던 선거는 2016년 4월 13일의 20대 국회의원 선거로 58%의 투표율을 기록하였다. 과거의 선거에서 미처 과반을 기록하지 못한 48%대의 투표율에 비하면 상승한 수치이지만, 여전히 투표율과 그 결과에 관한 비판이 뜨겁다. 이는 사실 국민의 정치의식과도 관련된 문제이지만, 투표율을 높이려는 적극적인 정책적 노력을 외면한 의도된 결과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사실 정치계 일각과 선거관련 시민단체들은 꾸준히 이러한 문제를 지적해왔다. 투표는 개인의 의지에 관한 문제가 아니라 공동체 전체의 방향과 운명을 결정하는 중요한 사안인만큼, 소속구성원의 필수적인 의무의 문제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벨기에, 브라질, 호주 등 전 세계 30여개국은 헌법이나 선거법 등을 통해 국민의 투표를 의무로 규정하여, 불참자에게는 벌금이나 공직취업제한 등 다양한 제재조치를 가하고 있다. 물론 투표는 시민의 의무가 아닌 권리이며, 투표를 하지 않는 것도 또 다른 의견의 자유로운 표출이라는 의견도 있다. 투표의 의무화, 필요한 정책인가.
data
투표는 권리인가 의무인가(김정곤, 국회도서관 온라인 자료열람)
news
호주 투표율 90%밑돌지 않는 이유…안하면 ‘전과자’ (2016.07.01, 뉴스1)
‘의무 투표제’ 놓고 세계는 논쟁 중(2014.10.31, 세계일보)
pros opinion
투표참여의 의무화는 민주주의의 기본이다
대의민주제를 표방하는 우리정치제도 하에서, 투표는 거의 유일한 참여의 방법이다. 투표하지않을 개인의 자유를 논하기에는 그 명분에서 투표의 참여의무가 가지는 무게가 훨씬 무겁고 중요하다. 투표의 참여는 선택이 아니라 의무가 되어야 한다.
실체적이고 적극적인 민의의 반영이 가능하다
저조한 투표율은 필연적으로 민의의 왜곡을 가져온다. 정치인들은 이 점을 악용하여 정책보다는 내 편을 투표장에 끌어오기 바쁜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투표가 의무화되고 투표율이 높아지면 질수록, 진짜 민심이 정치와 정책에 반영될 것이다.
cons opinion
국민은 선거에 참여하지 않을 권리가 있다
민주주의는 말 그대로 민이 주인인 정치제도이다. 항상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제재나 통제의 방식이 아닌 자유의지의 보장이다. 투표를 의무화 한다는 것은 그 자체로 권리를 제한하는 행위이며, 결코 올바른 해법이 아니다.
투표율은 정치권의 각성을 통해 해결할 문제이다
의무투표화는 저조한 투표율에 관한 원인과 책임을 국민에게 돌리는 저열한 해법이다. 투표장에 국민들이 의지를 가지고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정치권의 숙제이다. 권한을 제한하는 방식의 의무화 도입은 또 다른 문제를 가져올 뿐이다.
Opinions
찬반토론에 참여하기 전에 읽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