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은 개인의 선택으로 존중되어야 하나
토론에 참여하시기 전, 주제에 관한 현재의 의견을 밝혀주세요 : 중립
현재 중립에 있는 네모를 드래그하셔서 매우찬성, 찬성, 중립, 반대. 매우반대로 옮겨주시면 의견이 반영됩니다.
discussion
삶을 스스로 버리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에 관한 논쟁 중 하나가 바로 자살에 대한 정당성 문제이다. 인간의 선택은 타인에게 피해가 되지 않는 한 언제나 존중 되어야 하며, 인권으로부터 도출되는 선택권의 가치는 무엇과도 바꿀 수 없다. 이와 같은 견지에서 자살은 일종의 선택권이자 개인의 권리 차원으로 기능할 수는 있다. 하지만 자살은 결국 일종의 살인과 다르지 않으며, 인간에게 살인을 할 선택권은 어떠한 차원에서도 긍정될 수 없다는 반대 주장도 존재한다.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자살률을 보이고 있는 한국, 그리고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자살률, 과연 자살은 정당화 될 수 있는 것일까.
data
*네이버 지식백과의 경우, 하위링크를 통해 다양한 부가정보의 참고 가능
news
선택이라는 이름의 절망(2015.10.21, 함께걸음)
죽음을 배우는 시대 “웰빙 만큼 중요한 ‘웰다잉'”(2015.09.11, 오마이뉴스)
조용한 자살이라는 항변(2016.05.15, 미디어스)
pros opinion
a. 남에게 피해가 가지 않는 한, 자살은 개인의 선택권 차원에서 존중되어야 한다.
스스로의 삶을 살아가는 것은 어디까지나 스스로의 몫이다. 삶은 언제나 선택의 연속이고, 개인은 언제나 더 나은 방향을 향해서 선택을 하기 마련이다. 그 과정에서 적어도 타인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는 한, 그것이 죽음이라고 할지라도 개인의 선택은 존중되어야 한다.
b. 생명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해서 개인이 감당할 수 없을만한 고통을 감수할 필요는 없다.
생명의 존엄성이라는 개념 자체가 인간 필요에 의한 산물이다. 개인이 자신의 삶을 영위하면서 삶에서 얻는 기쁨이나 만족보다 불만족, 고통이 크다면 스스로 삶을 포기해도 어디까지나 그것은 스스로의 선택에 불과하다. 누구도 자신의 삶을 대신 살아줄 수 없으며, 누구도 책임져 줄 수 없으면서 힘겨운 삶을 강요하는 것은 개인에게 고통을 감수하도록 하는 행위이다.
cons opinion
a. 자살은 개인의 문제로 귀결되는 것이 아니며, 2차적인 문제를 낳을 수 있다.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자살은 존재할 수 없다. 스스로 자신의 삶을 버린다는 선택 자체가 사회적으로 크든 작든 윤리적인 부작용을 낳는다. 같은 사회를 살아가는 타인의 죽음을 지켜보면서 받게 되는 심리적, 감정적인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자신의 죽음 이후의 처분을 스스로 감당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자살은 타인과 사회에게 2차적인 문제를 남기고 가는 무책임한 행동이다.
b. 생명의 존엄성은 처음부터 인간의 선택적 차원이 아니다.
개인이 자신의 탄생을 처음부터 선택할 수 없는 것처럼, 죽음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생명의 존엄성은 개인의 선택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다. 개인의 삶을 살아가는 것은 스스로의 몫이 맞지만, 자연스럽지 못한 방법으로 자신의 삶을 마무리 하는 것은 개인의 권한 밖 문제이다. 생명의 존엄성은 스스로 포기할 수도, 포기해서도 안된다.
Opinions
찬반토론에 참여하기 전에 읽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