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등록번호제도는 유지되어야 하는가
토론에 참여하시기 전, 주제에 관한 현재의 의견을 밝혀주세요 : 중립
현재 중립에 있는 네모를 드래그하셔서 매우찬성, 찬성, 중립, 반대. 매우반대로 옮겨주시면 의견이 반영됩니다.
discussion
2014년 초, 국내 유명 카드 3사가 1억건이 넘는 개인정보를 유출당했다는 소식이 언론에 보도되었다. 해당 카드사의 홈페이지와 콜센터는 오랫동안 접속 폭주로 인해 마비되었고, 불안해진 국민들은 자신의 정보가 유출되었는지 확인하는 일련의 과정을 겪어야 했다. 검찰의 조사 결과, 범인은 신용정보회사의 보안개발책임자였으며, 1년에 걸쳐 빼낸 개인정보를 대출광고업자 등에 팔아넘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국 이 사건을 통해 많은 이들은 한번 정해지면 바꿀 수 없는 주민등록번호제도의 폐해에 관해 논의하기 시작하였고, 변경이 가능한 외국의 시민보장번호 등으로의 변환이 시대에 맞는 개인정보보호 정책이라 주장하고 있다. 특히 전국민의 데이터를 정부 편의를 위해 국가가 관리하는 방식의 불합리함에 많은 이들이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신분식별이 용이한 주민등록번호제를 통해 효율적이고 편리한 개인정보관리가 오히려 가능하다는 주장도 여전히 존재한다. 주민등록번호제도는 여전히 한국사회에 필요하고 유용한 제도인가.
data
[민생엿보기 찬성VS반대] ‘주민등록번호’ 폐지해야 하나?
news
주민등록번호 꼭 유지해야 되나(2015.12.24, 파이낸셜뉴스)
[맞짱토론]주민등록번호 폐지해야 하나(2014.02.08, 한국경제)
‘한번 받으면 끝’ 주민번호… 47년만에 바꿀 수 있게 됐다(2015.12.24, 조선일보)
pros opinion
a. 개인의 신분을 증명하는데 가장 편리한 방법이다.
주민등록제도는 한 번의 등록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본인을 증명하는 가장 간단하고 편리한 방법이다. 여러 종류의 번호를 이용해 자신을 증명하는 외국의 번거로운 경우와 달리 국가가 공인한 본인의 고유번호를 통해 신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안정성도 높다.
b. 인터넷시대의 불법정보 유통과 여론조작 등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에 오히려 적합하다.
인터넷 상의 익명성을 악용한 무분별한 사용을 본인인증과 같은 방식을 통해 합리적이고 간단하게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신분도용 등 범법행위에 관한 적발도 매우 효과적이고 용이하다.
cons opinion
a. 명백한 개인정보의 침해이다.
자신의 의도와 상관없이 누구나 쉽게 생년월일과 출신지역, 성별 등이 번호 자체에 공개되는 주민등록번호제도는 그 자체로 개인정보의 유출이자 인권침해에 다름아니다. 인간에게 번호를 부여하고 관리하는 것은 국가의 편의를 위해 개인의 불편을 강요하는 제도이다.
b. 유출과 도용에 치명적인 불합리한 제도이다.
한번 부여된 번호는 바뀌지않으며, 유출 및 도용 시 그 피해가 막대하며, 막기도 쉽지않다. 인터넷 상에서의 유출은 온라인의 특성상 그 수습이 거의 불가능하다. 최근 변경이 가능하다는 헌재의 판결이 있지만 여전히 제한적이며 변경가능이 문제가 아니라 폐지가 그 답이다.
Opinions
찬반토론에 참여하기 전에 읽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