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의의 거짓말은 윤리적인가
토론에 참여하시기 전, 주제에 관한 현재의 의견을 밝혀주세요 : 중립
현재 중립에 있는 네모를 드래그하셔서 매우찬성, 찬성, 중립, 반대. 매우반대로 옮겨주시면 의견이 반영됩니다.
discussion
‘선의의 거짓말’은 무척 함축적인 아이러니를 내포하고 있는 말이다. 악의를 배제한 채 단순히 상대방을 배려하고자 어쩔 수 없이 행하는 선의의 거짓말에, 우리는 윤리적 정당성을 부여해야 하는가. 일반적인 철학적 사고로써‘거짓말’에 관해서 이야기하려면, 칸트를 빼놓을 수 없다. 순수이성비판을 통해 칸트는 보편화된 원칙을 세워, 그것을 철저히 지키고자 했던 원칙주의자이다. 이처럼 ‘의무’와‘진실’을 중요시하는 칸트의 입장에 따르자면 어디까지나 거짓말은 그 발생 원인이 어떻든 절대적으로 배척되어야 마땅하다. 정언명령과 선의지는 ‘선의의 거짓말’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철학적 사고의 대표적인 근거이다. 그러나 이성적 사고를 떠나, 현실적인 사회에서 선의의 거짓말은 실제로 필요하기도하고, 자주 사용되기도 한다. 철학적 사고든, 현실적 사고든 선의의 거짓말은 윤리적으로 옳으며, 필요한 것인가.
data
거짓말의 현상학(하병학 학술논문,철학과 현상학 연구 제15집 2000, 국회도서관)
news
마크트웨인의 ‘거짓말에 관하여'(광주드림, 2015.10.19)
pros opinion
a. 인간의 삶은 철학적 기준 하에 살아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절대적인 기준을 설정하여 최대한 그것에 맞추어 살아가는 것은 가장 최선의 윤리적 실천방법이겠지만,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들은 그렇게 단편적인 기준으로 설명하기에 매우 어렵다. 거짓말을 단편적으로 ‘비윤리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무조건적으로 거짓말을 피하려고만 한다면, 기준의 절대성에 근거하여 다른 인간의 생활 양태들도 제한되는 것들이 상당할 것이다.
b. 상대방에게 상처를 주는 것보다는 선의의 거짓말이 되려 더욱 윤리적이다
선의의 거짓말은 일상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 아니다. 피할 수 없는 경우에, 제한적으로 우리는 선의의 거짓말을 사용하게 된다. 진실을 말하는 것이 상대방에게 더 큰 상처와 아픔을 주는 것이라면 차라리 선의의 거짓말로 상대방에게 그러한 상처를 피하도록 하는 것이 옳다.
cons opinion
a. 선의의 거짓말도 거짓말에 불과하다
‘선의의’ 거짓말이라는 용어 자체가 매우 역설적이다. 선의의 거짓말은 타인을 위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자신의 난감함과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에 지나지 않는다. 상대방이 받을 상처는 상대방의 몫으로 남겨두고, 자신은 진실을 말하는 것이 진정으로 윤리적인 선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 반드시 선의의 거짓말을 통해서만 갈등을 피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선의의 거짓말을 통해서만 갈등을 피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굳이 선의의 거짓말을 하지 않아도 다양한 방법으로 얼마든지 갈등을 피해갈 수 있기 때문에 선의의 거짓말을 ‘피치 못할’ 것으로 규정하는 것은 섣부른 판단이다. 이외의, 갈등을 풀 수 있는 다른 대안들을 생각해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Opinions
찬반토론에 참여하기 전에 읽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