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본성은 본래 선한것인가
토론에 참여하시기 전, 주제에 관한 현재의 의견을 밝혀주세요 : 중립
현재 중립에 있는 네모를 드래그하셔서 매우찬성, 찬성, 중립, 반대. 매우반대로 옮겨주시면 의견이 반영됩니다.
discussion
인간의 본성에 관한 논쟁은 그 역사가 매우 오래되었다. 인간의 윤리적 근원에 대한 철학적 연구와 논쟁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세계 곳곳에서 오랫동안 이어져 왔지만, 특히 고대 중국에서 시작된 ‘성선설’과 ‘성악설’을 양대 축으로 하는 윤리 사상의 기초는 여전히 우리에게 끊임없이 물음표를 던진다. 맹자에 의해 주창된 ‘성선설’은 인간에게 천성적인 ‘양지양능良知良能’, 즉 ‘무엇이 옳고 그른지에 대해 배우지 않고도 알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즉 인간의 본성은 날 때부터 선하며, 악은 단순히 외부적인 환경으로부터 기인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순자의 ‘성악설’은 오히려 ‘성性’, 즉 인간의 타고난 기질은 악한 것이며, 선善은 그저 후천적으로 만들어진 인위적인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인간의 본성은 ‘성선설’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그 본질이 선한 것인가
data
인간의 본성, 네거티브와 포지티브(시대와철학,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순자의 성악설과 그의 사상의 핵심어 ‘위(僞)’ -강신주(naverTV캐스트)
news
인간이 잔혹한 이유…동족을 살해하는 유일의 동물(2015.11.03, 연합뉴스)
켈트너 교수가 말하는 성선설의 과학적 근거(2011.04.15, 문화일보)
pros opinion
a. 인간은 타인을 돕는 것에서 기쁨을 느낀다
이타심은 성선설을 가장 쉽게 설명해주는 근거 중 하나이다. 우리가 타인을 이유 없이 도울 때, 우리의 내부에서는 근거를 찾을 수 없는 기쁨이 생긴다. 반면 대부분의 사람들의 경우, 남에게 해를 끼치거나 폭력을 가할 때 감정적인 불편함을 느낀다. 이러한 것들은 모두 성선설을 뒷받침할 수 있는 훌륭한 근거들이다
b. 인간이 감정을 가지고 있다는 것 자체가 성선설의 근거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감정을 지닌다. 슬픔에 눈물을 흘리고, 기쁜 일에는 행복을 느낀다. 감정이 표출되는 것에는 일반적인 기준이 분명히 존재하는데, 어떤 상황을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으로 양분할 경우 대체적으로 인간이 느끼는 감정 역시 상황적 맥락과 동일해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처럼 인류 공통적으로 감정을 느끼는 것 자체가 하나의 근거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cons opinion
a. 인간이 가지는 타고난 부조리함은 성악설의 증거이다.
갑작스런 화재에 입구에서 수백명이 압사한 사건이 종종 일어난다. 이는 인간 본성의 부조리함이 위급한 사태에 드러난 사례이다. 이들이 질서를 지켜 차분히 구조되었다면, 이는 인간 본성의 선함때문이 아니라 교육과 훈련에 의해 악한 본성이 잘 제어된 예로 보아야 한다. 종교적 이론들도 인간이 모두 악함을 전제로 이루어진다는 사실도 우연이 아닐 것이다.
b. 어린 아이들의 행태를 종합해볼 때, 성악설이 더욱 근거있는 이론이다
4세 이하의 어린 아이들이 말을 배우기 시작할 때, 자연스럽게 학습하는 것이 바로 ‘거짓말’이다. 이는 부모가 아이들에게 직접적으로 학습한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말을 배우고 성장하면서 아동 스스로가 편의에 의해 흡수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인간에게 악함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그 내부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라고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Opinions
찬반토론에 참여하기 전에 읽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