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러방지법은 제정되어야 하나
토론에 참여하시기 전, 주제에 관한 현재의 의견을 밝혀주세요 : 중립
현재 중립에 있는 네모를 드래그하셔서 매우찬성, 찬성, 중립, 반대. 매우반대로 옮겨주시면 의견이 반영됩니다.
discussion
2001년 미국의 911 테러를 계기로 국정원 주도하에 처음 발의된 테러방지법은, 인권 침해의 문제점 등이 제기되면서 여러 번 통과가 무산되어 왔다. 테러방지법의 핵심은 국정원 중심의 대테러 컨트롤타워 구축이며, 이외에도 기타 사이버테러 방지법 및 검찰ㆍ경찰ㆍ국민안전처 등 7개 기관에 개인의 금융 거래 정보를 국정원에 제공하는 금융정보분석원법 등이 포함된다. 테러방지법 통과를 강력하게 주장하는 정부와 새누리당은 분단국가라는 한국의 특성상 반드시 필요한 법안임을 강조하며 그 입법과 발효를 위해 노력중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러한 테러방지법이 국정원에 초법적 권한을 부여하는 비민주적 권한임을 지적하며 긍정적인 부분보다는 부정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반대하고 있다. 첨예한 정치적 대립과 이념적 갈등 속에서 불협화음을 내고 있는 ‘테러방지법’은 제정되어야 하는가.
data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안(의안정보시스템, 의안원문다운로드)
[팟캐스트] 테러방지법? 국정원 날개법일 뿐!(참여연대)
news
테러방지법 제정 논란… 與 “국민보호 안전장치” vs 野 “국정원 초법화 인권침해” (한국일보, 2015.11.16)
‘테러방지법’, 쟁점은(이데일리, 2016.02.10)
박 대통령 “국회, 테러방지법 조속 처리” 촉구(포커스뉴스, 2016.02.07)
pros opinion
a. 국가적 특수성 측면에서 테러방지법은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는 일부 이슬람세력의 위협 뿐 아니라, 분단 국가라는 특수성을 내포하고 있다. 분단 이후 북한은 지속적으로 테러 위협을 가해왔다. 천안함 사건, 국지 도발 등으로 야기될 수 있는 전쟁 가능성과 한반도 안보의 중요성을 생각할 때 테러 방지법은 국민의 재산과 안녕을 보호할 수 있는 법적인 안정 장치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b. 테러의 범위가 더욱 확장되고 있으므로 국가적 차원에서의 대응책이 필요하다.
IT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테러는 더 이상 국지 도발로만 발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사이버테러, 기술을 활용한 기술 테러 등을 발생 전에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이를 국가적 차원에서 감시, 관리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cons opinion
a. 시대정신과 상충되는 초법적 권한 부여에 불과하다.
역사를 되짚어보면 국가가 많은 힘을 가질 때, 그 권력은 국민을 지켜주는 훌륭한 도구로 사용 되기 보다는, 국민을 탄압하는 무기로 전락되곤했다. 국민의 사생활을 침해할 여지를 가진 초법적 국가 권한은 결국 국가의 민주성을 저해시킬 뿐이다.
b. 국민의 안전성을 오히려 저해하는 인권침해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테러방지법은 이미 다른 국가들을 예시로 봤을 때 테러 위협을 해소할 수 있는 근본적 차원의 대책으로 기능할 수 없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미 국내에서는 국가 안보를 근거로 다양한 제도들이 시행되고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테러방지법 제정은 유명무실한 국민 안전 대책일 뿐, 오히려 국민의 사생활과 인권을 침해하는 부작용을 낳을 수 밖에 없다.
reference
애국자법, Patriot Act , 愛國者法(두산백과)
Opinions
찬반토론에 참여하기 전에 읽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