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수당 지급정책은 시행되어야 하는가
토론에 참여하시기 전, 주제에 관한 현재의 의견을 밝혀주세요 : 중립
현재 중립에 있는 네모를 드래그하셔서 매우찬성, 찬성, 중립, 반대. 매우반대로 옮겨주시면 의견이 반영됩니다.
discussion
서울시에서는 2015년 11월 ‘청년활동지원사업’을 발표하면서 미취업 청년들에게 청년 수당 50만원을 지원할 뜻을 밝힌 바 있다. 청년 실업률이 사상 최대치로 증가하면서, 이들의 취업을 적극 지원해주는 동시에 국가적 차원에서 사회 참여 기회를 가지지 못한 청년들의 자존감까지 회복 시켜주겠다는 취지에서이다. 하지만 중앙정부에서는 이러한 서울시 정책이 단순히 ‘떠먹여주기’식의 포퓰리즘 정책임을 지적하며 서울시의 청년 수당 지원 정책에 반기를 들고 있는 실정이다. 청년들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것은 ‘값 싼 용돈’이 아닌 ‘일자리’라는 의견이다. 한편 서울시측은 본 정책이 단순히 일회성 금전 지급의 형태가 아닌, 스스로 청년들이 자립할 수 있도록 능동적인 계획을 형성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중앙정부의 반대에 답하고 있다. 실제 서울시에 앞서 성남시는 이미 청년수당을 지급하며 중앙정부와 마찰을 빚고 있다. 청년실업시대의 뜨거운 감자로 대두된 청년수당 지급정책은 시행되어야 하는가.
data
[60초 모바일뉴스]서울시 ‘청년수당’ 논란(MK POST)
서울시, 사회 밖 청년에 최소 사회참여활동비 지원 (서울시 보도자료, hwp 다운로드)
news
서울시 ‘청년수당’ 일문일답 (경향신문, 2015.11.05)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서울시 청년수당 (서울경제, 오피니언)
청년수당 갈등 정부-서울시, 법정으로(레디앙, 2016.01.29)
김무성 “악마의 속삭임” vs 박원순 “악마 눈엔 악마만 보여”… 市 청년수당 공방(데일리한국, 2016.01.06)
pros opinion
a. 절대적 빈곤층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
.
청년 실업 문제가 더욱 극대화 되는 계층은 경제적 빈곤층이다. 가정 형편이 어려울수록, 그리고 학력이 낮을수록 이 문제는 더욱 두드러진다. 적절한 일자리를 찾고 근무하기까지는 생각보다 많은 제반 비용들이 수반된다. 따라서, 이 제도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경제적 원인들 때문에 직업 활동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청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b. 청년들이 자신의 구직활동에 있어 주도적인 계획을 세우도록 도움을 준다.
서울시의 청년 수당은 단순히 복지 정책이라 보기 어렵다. 일련의 선발 과정과 청년들의 ‘활동’을 근거로 수당을 지급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청년들은 모호했던 자신들의 구직 활동을 보다 명확하게 계획하고, 그 계획에 따라 실행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받는다. 청년들이 이처럼 주도적으로 계획을 세우는 것이야말로, 보다 현실적인 일자리 창출 가능성과 직결되는 것이다.
cons opinion
a. 전형적인 포퓰리즘 정책에 불과하다.
청년 실업 문제를 단순히 경제적 요인에서만 해석하여 구조적, 정책적 문제를 등한시 할 여지가 있다. 청년 실업 문제 해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질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려는 정부의 노력인데, 이것을 개인의 문제로 귀속하고 얼마간의 경제적 보상으로 해결하려는 것은 정부의 무책임한 책임 회피인 동시에, 전형적인 포퓰리즘 정책에 불과하다.
b. 지원의 범위가 좁아 형평성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중위소득 60% 이하, 3000명 지원을 규모로 하는 청년 수당 정책은 다른 제도들에 비해 범위가 상당히 제한적이다. ‘청년’ 수당이라는 기치로 정책을 펴면서, 청년 대다수가 아닌, 상당히 제한적인 범위 내의 수혜자에게만 수당을 지급하는 것은 오히려 역차별을 발생시킬 여지가 있다. 역차별은 곧 상대적 박탈감과 연결되어, 수혜를 받지 못하는 청년들에게는 허탈감을 안겨줄 것이다.
Opinions
찬반토론에 참여하기 전에 읽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