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키즈존의 확산은 자연스러운 현상인가
토론에 참여하시기 전, 주제에 관한 현재의 의견을 밝혀주세요 : 중립
현재 중립에 있는 네모를 드래그하셔서 매우찬성, 찬성, 중립, 반대. 매우반대로 옮겨주시면 의견이 반영됩니다.
discussion
최근 커피전문점, 음식점 등을 중심으로 미취학 아동, 혹은 연령제한을 통해 아동을 사절하는 장소가 속속 등장하여 확산되는 추세이다. 업소들은 ‘뒷처리 없는 부모들’과 ‘공공장소의 예절’을 익히지 못한 아이들이 영업에 방해는 물론, 아이가 다친 경우 손해배상을 해주는 등 불이익이 많아 어쩔 수 없이 시행하는 고육지책이라 주장한다. 반면 노키즈존의 확대를 경계하는 측은 이러한 현상은 결국 아이와 아이를 가진 부모에 관한 사회적인 배려를 약화시키는 영향을 주며, 출산장려의 정책과 문화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 우려한다. 노키즈존의 확장은 막을 수 없는 흐름인가.
data
‘아이는 나가주세요’ 유트브동영상(2014, KBS2 화제포착)
‘노 키즈 존’ 논란, 대안은 없나(BUSINESS WATCH, 2014)
news
노키즈존, 팽팽한 찬반 대립..논란 확산(아시아투데이, 2015.09.22)
업주가 말하는 ‘노키즈존’ 전환 이유 들어보니…(헤럴드경제, 2015.08.10)
외출이 무서운 엄마들..”출산장려 말뿐”(파이낸셜뉴스, 2014.10.12)
pros opinion
a. 노키즈존은 업주의 자유로운 선택이다
개인사업장에서 개별적으로 노키즈존을 만드는 행위를 규제할 수 있는 직접적인 법적 기준은 없으며, 영업정책을 만드는 것은 온전히 업주의 책임이자 권한이다. 이에 관해 여러가지 잣대를 들이대는 것 자체가 낭비이다.
b. 노키즈존 비난보다는 공공예절의 교육이 우선이다
소수의 비상식적 부모들이 이러한 상황을 만들었다. 노키즈존의 확산을 비판할것이 아니라 부모들 스스로 공공예절에 관한 바른 인식을 갖추어 자녀교육에 힘써야 한다. 노키즈존을 해결하는 방법은 노키즈존설치 반대가 아니라 이의 확산을 막으려는 자정 노력이다.
cons opinion
a. 노키즈존은 근거없는 차별이다
식당이나 카페에서 특정 손님을 거부하는 것은 명백한 차별 행위이다. 장애인의 휠체어가 식당운영에 불편하다고 ‘장애인 출입금지’라고 써 놓아서는 안되듯, 아이들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
b. 아이에 관한 배려가 필요하다
출산과 양육의 장려에 국가와 사회가 모두 나서야 한다. 누구나 아이였고, 누구나 아이에게 자신의 미래를 기댄다. 배려하지 못하는 일부 부모들이 미워서, 나의 배려마저 멈추는 극단적 선택은 옳지 못하다.
reference
[시사배틀] ‘차별vs구별’ 노키즈존 논란에 대한 네티즌들의 생각은? (news dive, 2014)
Opinions
찬반토론에 참여하기 전에 읽어주세요